[심현희 기자의 술 이야기] 스카치 위스키 대명사 ‘조니 워커’의 200년
조니워커 블랙라벨.
디아지오코리아 제공
디아지오코리아 제공
조니워커 로고 스트라이딩맨.
조니워커 제공
조니워커 제공
블렌디드 위스키란 최소 2곳 이상의 증류소에서 생산된 위스키를 혼합해 만든 위스키를 뜻합니다. 단일 증류소에서 물과 몰트만을 가지고 단식증류기를 사용해 생산된 싱글몰트위스키에 비해 맛의 균형이 뛰어나고, 누구나 마시기 편한 대중적인 맛을 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최근에는 취향 시장이 커지지면서 증류소별 개성이 확연히 드러나는 싱글몰트위스키 열풍이 불고 있기도 하지만 조니워커를 비롯한 스카치 위스키가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을 수 있었던 건 아무래도 싱글몰트위스키를 섞어서 부드럽게 만든 블렌디드 위스키의 매력 덕분입니다. 특히 12년 숙성 원액을 섞은 ‘조니워커 블랙라벨’은 전문가들에게 ‘가성비’가 가장 뛰어난 블렌디드 위스키로도 꼽힌답니다.
조니워커의 역사가 시작된 스코틀랜드 킬마녹의 식료품점.
디아지오코리아 제공
디아지오코리아 제공
워커가 위스키 블렌딩 작업에 관심을 갖게 된 건 가게에서 취급하는 싱글몰트위스키의 들쭉날쭉한 품질 때문이었습니다. 싱글몰트위스키는 맛과 향이 강렬하고 캐릭터가 뚜렷했지만, 생산되는 위스키마다 맛이 불규칙한 것이 문제였습니다. 그는 언제 어느때 마셔도 소비자가 기대하는 맛을 일정하게 내는 위스키를 팔아야겠다고 결심하고 가게에 들어오는 싱글몰트위스키를 이것저것 섞어 보기 시작했습니다. 섬세한 미각을 가진 데다 이미 차를 블렌딩해 팔아 본 경험이 있었던 그의 위스키는 빠르게 입소문이 났고, 존 워커는 어느새 식료품점 주인에서 위스키 잘 섞어 주는 사람, ‘블렌딩 장인’으로 명성을 떨치게 됐죠.
●아들 알렉산더, ‘조니 워커’ 브랜드 발전시켜
그의 위스키를 ‘조니워커’라는 브랜드로 발전시키고, 회사를 키운 건 아들 알렉산더입니다. 산업혁명이 일어났던 당시 영국에서 팔리는 위스키는 하나같이 둥근 병에 담겨 일직선 라벨이 붙어 있었습니다. 아버지의 사업을 물려받은 알렉산더는 기존 디자인을 비틀어 직사각형 병에 위스키를 담고 기울어진 라벨을 붙여 차별화했습니다.
이 위스키에 ‘올드 하이랜드 위스키’라는 이름을 붙여 저작권 등록도 마쳤고요. 직사각형 병은 위스키의 파손율을 낮췄고, 사선 모양의 라벨은 일직선 라벨보다 공간이 넉넉해 소비자들에게 보다 상세한 위스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실용성도 있었습니다. 고객들은 자연스레 파격적인 변신을 한 조니워커에 시선을 뺏기게 됐죠. 오늘날로 치면 알렉산더가 ‘브랜딩’ 작업을 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겠죠. 아버지가 뛰어난 미각을 가진 블렌딩 마스터였다면 아들은 천부적인 마케터였던 셈입니다.
200주년 기념으로 생산된 한정판 위스키.
디아지오코리아 제공
디아지오코리아 제공
조니워커 브랜드가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도 알렉산더의 사업 수완 덕분입니다. 그는 선장들을 고용해 선박이 가는 곳마다 조니워커 위스키를 싣고 가도록 했습니다. 세계 곳곳에 뻗친 영국의 선박 덕분에 이 위스키는 전 세계에도 이름을 알리게 됩니다. 이 위스키가 오늘날 바로 그 유명한 ‘조니워커 블랙라벨’이랍니다. 조니워커의 로그인 중절모를 쓰고 지팡이를 손에 쥔 채 걸어가는 신사 ‘스트라이딩맨’은 알렉산더의 아들대에서 당시 유명 일러스트레이터였던 톰 브라운이 그려 준 것이라고 하네요.
macduck@seoul.co.kr
2020-07-10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