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안주와 어울리는 ‘의외의 술’
위스키의 본고장 스코틀랜드에서는 겨울철 석화에 위스키를 뿌려 먹는다. 위스키 가운데선 피트향이 가득한 아이라 지역의 위스키가 굴과 특히 잘 어울린다.
하버하우스 페이스북
하버하우스 페이스북
●아이라 위스키, 말랑한 굴의 식감 살려
먼저 굴을 집었다면 굴 알맹이 위에 위스키를 한두 방울 떨어뜨려 보세요. 에세이 ‘위스키 성지여행’을 쓴 일본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는 여행 중 스코틀랜드의 한 레스토랑에서 석화 한 접시와 싱글몰트 위스키를 주문해 함께 맛보고는 감탄을 금치 못했습니다. 그는 먼저 레몬을 뿌린 굴 위에 위스키를 적셔 알맹이를 쏙 빼 먹고, 껍질에 남아 있는 굴즙과 위스키가 섞인 국물을 쪽쪽 빨아마셨습니다. 책이 발간된 이후 스코틀랜드의 식문화이기도 한 하루키식 굴 먹는 방법은 대중적으로도 알려져 ‘위스키+굴’ 조합의 정석이 됐죠.
물론 술과 음식의 페어링 세계에 정답은 없습니다. 맥주 가운데선 흑맥주 ‘스타우트’(혹은 포터)가, 와인 중에서는 프랑스의 화이트와인 샤블리가 겨울철 석화의 짝꿍처럼 등장하지만, ‘피트향 위스키’의 대표주자인 스코틀랜드 아이라 위스키도 훌륭한 선택이랍니다.
기름기가 꽉 찬 겨울 대방어와 환상적인 조화를 이루는 프랑스 프로방스 지역의 로제와인.
신세계L&B 제공
신세계L&B 제공
기름기가 꽉 찬 겨울 대방어
굴로 애피타이저를 즐겼다면, 이제 방어로 시선을 돌려 봅니다. 지방이 많은 겨울철 대방어는 의외로 우아한 로제와인과 잘 어울린답니다. 로제와인은 일반적으로 레드와인의 재료인 적포도 품종의 포도를 화이트와인을 만드는 방식으로 양조해 연한 분홍색을 띱니다. 맛과 향은 화사하면서도 가볍고 경쾌해 화이트와인은 아쉽고, 레드와인은 부담스러운 이들이 특히 좋아하는 술이죠.
와인과 음식을 매칭할 때 가장 쉬운 방법이 서로의 색깔을 맞히는 것인데요. 방어+로제와인의 조합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해산물은 화이트와인과 먹어야 한다는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참치, 방어 등 붉은 생선은 단맛이 없어 깔끔하게 떨어지는 로제와인이나 가벼운 레드와인과 잘 어울립니다.
특히 로제와인은 흰살 생선에 비해 풍미가 짙고 기름기가 잘 오른 겨울 방어와 환상적인 조화를 이루는데요. 풍성한 과일향과 짜릿한 산미가 방어의 기름진 맛을 완화해 줘 자칫 물리기 쉬운 방어를 ‘폭풍 흡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답니다. 이 가운데서도 프랑스의 프로방스 지역에서 나는 로제와인이 드라이한 편이라 음식과 먹기 편하니 여러 산지의 로제와인 중에서 무엇을 고를지 난감할 때는 “프로방스에서 나는 로제와인을 달라”고 하면 됩니다.
자, 아이라 위스키와 프로방스 로제와인, 준비되셨나요? 이제 겨울의 ‘술맛’을 제대로 느끼러 갈 차례입니다.
macduck@seoul.co.kr
2019-12-13 3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