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고] 최고령 판소리꾼 박송희 명창 별세

[부고] 최고령 판소리꾼 박송희 명창 별세

입력 2017-02-19 22:20
수정 2017-02-19 23: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현역 최고령 판소리꾼으로 활동해 온 박송희(본명 박정자) 명창이 19일 별세했다. 90세.
박송희 명창
박송희 명창
1927년 전남 화순에서 태어난 박 명창은 1944년 동일창극단을 시작으로 여성국극동호회, 새한국극단, 햇님국극단 등에서 주역으로 활동했다. 김소희 명창에게서 춘향가와 심청가를, 박봉술 명창에게서 적벽가와 수궁가를, 정권진 명창에게서 심청가를 배웠고, 동편제 판소리의 거목인 박록주 명창에게서는 흥보가를 사사하는 등 당대 최고 명창으로부터 판소리 다섯 바탕을 섭렵했다. 2002년 2월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흥보가 예능보유자로 지정됐다.

우직하고 남성적인 동편제 소리의 맥을 이어 온 그의 창법은 화려하거나 복잡한 기교를 자제하고 무게감 있고 시원하게 소리를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소리 다섯 바탕 외에도 근대로 넘어오면서 이어지지 못한 소리를 전승하는 데 힘썼다.

2003년 제13회 동리대상, 2006년 문화훈장 은관, 2010년 제17회 방일영 국악상을 받았다. 빈소는 고양시 명지병원 장례식장 특9호실, 발인은 23일이다. (031)810-5444.

연합뉴스

2017-02-2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