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 건물 대상… 탄두 15개 발견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0/31/SSC_20231031002753_O2.pn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0/31/SSC_20231031002753.png)
옛 전남도청은 1980년 5월 시민군이 목숨을 걸고 끝까지 지키려 했던 최후 항쟁지다. 민주주의의 성지이자 광주·전남 시도민을 하나로 모으는 구심점이었다. 그러나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건립 과정에서 옛 전남도청 건물 일부가 철거되고 변형되면서 5·18 단체와 지역민들로부터 복원 요구가 이어졌다.
복원 대상은 도청 본관, 도청 별관, 도청 회의실, 경찰국 본관, 경찰국 민원실, 상무관 등 6개 건물이다. 내외부와 연결 통로 등을 1980년 당시 모습으로 복구하고 특히 내부는 5·18을 기억하는 대표 공간으로 만든다. 미래 세대를 위한 교육과 상호 화합의 장이자 전시와 기록, 정보가 혼합된 공간으로 조성한다.
문체부는 2019년 3월 28일 옛 전남도청 복원에 대한 기본 계획을 발표하고 같은 해 11월부터 설계를 추진했다. 2020년 9월부터 2022년 6월까지 타당성 재조사를 시행하면서 사업비 495억원을 확보하고 지난해 12월에 설계를 완료했다.
2020년 7월부터 진행한 탄흔 조사도 지난 27일 끝냈다. 총탄 의심 흔적 535개를 확보하고 탄두 15개를 발견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성분 분석을 맡겨 모두 당시 사용됐던 것임을 확인했다.
이번 착공식에서는 ‘소중한 기억이 모두의 희망이 되는 곳! 바로 옛 전남도청입니다’를 주제로 복원 성공을 기원하는 공연을 진행했다.
2023-10-3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