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나에게 적인가 친구인가…‘우정’에 관한 인문학적 상상력

당신은 나에게 적인가 친구인가…‘우정’에 관한 인문학적 상상력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3-10-24 11:30
수정 2023-10-24 11: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인문 잡지 ‘한편’ 12호에서 ‘우정’ 집중 분석

이미지 확대
‘친구 사이의 정’으로 해석되는 우정에 대해 인문 잡지 ‘한편’에서 문학, 동물행동학, 사회인류학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했다.  픽사베이 제공
‘친구 사이의 정’으로 해석되는 우정에 대해 인문 잡지 ‘한편’에서 문학, 동물행동학, 사회인류학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했다.

픽사베이 제공
국어사전에서는 ‘우정’을 ‘친구 사이의 정’이라고 간단히 정의하고 있다. 그렇지만 사람과의 관계와 감정을 간단히 정의 내리기란 쉽지 않다. 더군다나 현대인은 소셜미디어(SNS) 덕분에 이전과 비교해 놀라울 정도로 많은 사람과 관계를 갖는다. 그렇지만 온라인과는 달리 오프라인에서 만나는 사람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그러다 보니 과거와 같이 우정을 정의하기가 쉽지 않다.

인문 잡지 ‘한편’ 12호는 ‘우정’을 에세이와 비평, 문학적 접근부터 동물행동학, 사회인류학, 문화연구, 철학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파헤쳤다. ‘한편’은 주제 하나를 정해 다양한 측면에서 같음과 차이를 조명하고 있는 잡지다.

평론가 이연숙은 ‘비(非)우정의 우정’이라는 글을 통해 친구면 친구, 연인이면 연인이라는 식으로 정해진 역할을 구분하는 것은 사회적 압력이라고 말한다. 대신 저자와 독자의 관계에서처럼 서로를 모르면서도 공통적인 것으로 묶일 수 있는 관계까지도 우정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연숙은 “‘비우정의 우정’에서 중요한 것은 내가 너를 얼마나 아느냐가 아니라 우리가 서로를 모르는데도 불구하고 어떻게 함께할 수 있느냐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이미지 확대
인문 잡지 ‘한편’ 12호 우정
인문 잡지 ‘한편’ 12호 우정
그런가 하면 동물인지행동학자 김예나에게 우정은 나와 다른 종과 관계를 맺는 방법과 비슷하다고 지적한다. ‘털 고르기를 하는 시간’이라는 글에서 김예나는 동거 중인 개, 연구소에서 만난 침팬지의 이야기를 꺼내며 우정의 바탕이 되는 공감은 인간이든 동물이든 상대방의 상황을 알아가는 일이라고 말한다. 상대가 보내는 신호를 정확히 파악하려고 애쓰는 과학적 태도가 사랑과 우정의 스펙트럼을 넓히는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말이다.

적과 친구를 구분하는 ‘우정’은 정치에서 고전적인 개념이기도 하다. 식민지 조선 문학 연구자 김경채와 사회인류학자 이경빈, 정치평론가 김민하는 극한의 갈등에 빠진 현실에서 우정을 어떻게 봐야 하는지 개인과 관계에서 집단 간, 국가 간 관계로 확장해 논의한다.

김민하는 ‘정치에서 우정 찾기’라는 글을 통해 민주주의가 좌절되는 이유를, 우정을 파탄에 빠뜨리는 온라인 환경에서 찾는다. 내전 상황을 방불케 하는 SNS에서 극성 지지자들은 상대방을 악마화하고, 정치인들은 지지자들 눈치를 보느라 합의에 나서지 않는다. 하지만 온라인 세계의 진영 싸움은 실제 문제와 무관한 경우가 많다고 지적한다.

김민하는 다세대주택에서 막힌 하수구를 건물 사람들과 함께 뚫으려고 애쓴 경험을 들려주며 현재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사회 구성원을 향한 우애라고 강조한다. 그래서 김민하는 “사회 구성원 전체에 대한 우정인 우애가 작동한다면 왜곡된 자유와 평등의 의미도 바로잡을 수 있다”라면서 “민주주의는 나만큼 남을 사랑할 수 있어야, 즉 연대의 정신이 일반적으로 실천되어야 사회 전체를 위한 해법이 도출될 수 있고 그래야 제대로 작동할 수 있다”라고 강조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