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 계몽 군주? 유약한 왕?…시대가 해석을 바꾼다

정조, 계몽 군주? 유약한 왕?…시대가 해석을 바꾼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3-05-02 11:20
수정 2023-05-02 11: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백철 계명대 사학과 교수의 ‘정조의 군주상’
1980년대까지 정조는 무능하고 유약한 왕 묘사
1990년대부터 ‘좌절된 개혁군주’로 이미지 변화

이미지 확대
영화 ‘역린’(2014)의 한 장면. 정조 즉위 초기 암살 시도를 소재로 만든 영화로 현빈이 정조 역할을 한다.
영화 ‘역린’(2014)의 한 장면. 정조 즉위 초기 암살 시도를 소재로 만든 영화로 현빈이 정조 역할을 한다.
1995년 영화 ‘영원한 제국’, 2007년 드라마 ‘이산’, 2014년 영화 ‘역린’, 2021년 드라마 ‘옷소매 붉은 끝동’. 눈치챘겠지만 이 작품들의 공통점은 조선 22대 왕 정조를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등장하는 정조는 수구 반동적인 신하들 때문에 개혁을 완수하지 못한 비운의 계몽 군주로 묘사되고 있다. 그런데 정조를 보는 이런 관점은 1990년대 이후에 나타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김백철 계명대 사학과 교수는 최근 ‘정조의 군주상-허상과 실상의 경계’(이학사)라는 책을 통해 정조 시대에 대한 인식은 1990년대를 기점으로 180도 바뀌게 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김백철 계명대 교수의 ‘정조의 군주상’(이학사)
김백철 계명대 교수의 ‘정조의 군주상’(이학사)
김 교수에 따르면 1980년대까지는 정조에 대한 평가는 좋은 편이 아니었다. 1980년대까지 역사서나 사극 등에서 정조는 주로 나약한 임금이자 유약한 왕세손으로 묘사됐다. 특히 1973년에 발간된 김영곤의 ‘왕비열전’에서 정조는 자객의 위협에서 겨우 왕위를 보존하고 홍국영의 숙위소 설치로 인해 꼭두각시가 되는 등 유약하고 어리석고 전형적으로 무능한 임금으로 등장하고 있다. 또 1992년 출간된 ‘소설 목민심서’에서 묘사되는 정조 역시 개혁 군주와는 거리가 멀다. 김 교수는 이는 1980년대까지 연구 성과를 토대로 집필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영화 ‘영원한 제국’(1995)은 1993년 이인화의 원작으로 만든 영화. 안성기가 정조 역할을 하는 영화로 이 작품을 기점으로 정조는 ‘미완의 개혁 군주’라는 이미지가 대중에게 자리 잡게 된다.
영화 ‘영원한 제국’(1995)은 1993년 이인화의 원작으로 만든 영화. 안성기가 정조 역할을 하는 영화로 이 작품을 기점으로 정조는 ‘미완의 개혁 군주’라는 이미지가 대중에게 자리 잡게 된다.
1990년 규장각 도서 공개로 정조 평가 변화
1993년 소설 ‘영원한 제국’ 정조 이미지 탈바꿈
90년대 韓 정치, 경제, 문화적 변화도 영향
그런데 역사학자들의 1차 사료인 규장각 도서가 1990년대부터는 다양한 방식으로 간행되고 배포되면서 야사 중심이 아닌 정사를 통한 실증과 정교한 이론적 구축이 가능해졌다. 이렇게 되면서 학자들의 관련 연구가 쏟아져 나오고 이를 바탕으로 100만 부 이상 판매를 기록한 베스트셀러이자 영화로까지 제작된 이인화(류철균)의 ‘영원한 제국’이 정조시대의 이미지를 완전히 바꾸게 됐다고 김 교수는 분석했다. ‘영원한 제국’은 1990~1992년 정조를 개혁 군주로 해석하기 시작한 학계의 연구를 신속하게 받아들인 첫 저작물이다. 그 이후 정조 시대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사극, 각종 출판물이 쏟아져 나오면서 ‘정조 신드롬’이 만들어졌다고 진단했다.

김 교수의 책에서는 정조 시대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는 1990년대 한국 사회의 정치, 경제, 문화적 변화도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1990년대 민주화 이후 개혁의 희망과 실천에 대한 열망, 정치 개혁을 경제 개혁으로 옮겨오기 위해 주목했던 시기가 바로 실학자들이 등장했던 18세기 정조 시대였다는 것이다. 또 1990년대부터 전통의 재인식 분위기가 확산하면서 민족주의를 넘어선 배타적 국수주의 색채를 띠게 된 것도 정조 신드롬의 한 축이라고 김 교수는 강조했다. 19세기 말 자주적 근대국가 수립이 실패한 것은 1800년 정조의 죽음에서 비롯됐다는 그릇된 믿음이 굳어지게 됐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현재 정조 신드롬은 18세기 자체의 가치뿐만 아니라 현재적 관점의 변화에 기인한 바가 크다”라며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라는 말처럼 필요한 부분만 기억하고 나머지 부분은 간과하는 식의 ‘기억 전쟁’ 측면도 분명히 있다”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