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과 소헌왕후 합장릉인 여주 영릉.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21일 조선왕릉 40개소 61기의 봉분제도와 능침지반의 원형을 밝히기 위해 산릉의궤와 조선왕조실록 등 고문헌을 분석하고 3차원 입력(3D 스캔)과 현장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선왕릉 봉분 및 능침지반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전했다.
조사 결과 조선 초기 왕릉의 지하 현궁(왕과 왕비의 관을 묻는 구덩이)은 대형석재로 넓은 석실을 만들어 봉분의 지름도 32∼35자(약 9856~1만 780㎜) 사이로 큰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15세기 후반 이후로는 현궁을 대형석재 대신 회격(석회나 가는 모래, 황토 등을 이용해 만든 관)으로 조성하기 시작해 점차 봉분의 지름이 줄어들었다. 17세기 후반부터는 합장릉을 제외한 단릉 및 쌍릉, 삼연릉의 경우 봉분의 좌우지름과 봉분 사이 간격을 조절하면서 봉분 지름이 25자(약 7700㎜)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선왕릉의 지름 변화
조선 초기에는 봉분 사방으로 미세한 경사면을 둬 곡장(무덤 뒤에 둘러 쌓은 나지막한 담) 주변으로 배수로, 배수구 등을 설치했으나 후기 들어서는 발달한 배수 체계를 조성했다는 점도 확인됐다. 궁능유적본부는 이번 보고서를 향후 봉분 및 능침지반 관리방안 및 정비계획 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해 조선왕릉의 체계적 보존 관리에 힘쓸 예정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