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9명 뉴스·정보 인터넷포털·언론사사이트서 본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26일 발간한 미디어이슈 6권 2호에 실린 ‘코로나19 관련 정보 이용 및 인식 현황’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응의 적절성 여부를 물은 결과 ‘정부가 적절히 대응하고 있다’는 응답이 74.4%를 차지했다. 의료기관에 대해선 93.2%, 지자체는 77.2%, 언론은 63.7% 응답자가 적절히 대응한다는 평가를 내렸다.
또한, 응답자의 94.4%는 본인 스스로 적절히 대응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타인의 대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은 81.9%였다. 확진자나 유증상자들의 대응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은 54.1%였다.
이번 조사는 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지난 9~12일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평가는 4점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별로 그렇지 않다-약간 그렇다-매우 그렇다) 방식으로 했다.
매체별 코로나19 관련 뉴스·정보 이용률은 인터넷포털·언론사사이트가 92.7%로 가장 높았다. 이어 지상파TV(89.6%), 종편·보도전문TV(81.3%), 지인들과의 대화·통화(76.6%) 순이었다. 정부나 지자체 홈페이지를 직접 방문해 코로나19 관련 정보를 접한다는 사람이 58.8%를 차지했다.
유튜브 등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53.4%), 카카오톡 등 메신저서비스(49.7%),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47.5%, 블로그·온라인 카페(37.3%), 라디오(34.0%)가 뒤를 이었다. 종이신문을 통해 코로나19 관련 정보를 얻는다는 응답은 19.3%로 가장 낮았다.
코로나19와 관련해 언론이 우선으로 다뤄야 할 이슈로는 다수가 ‘감염 원인 및 전파 경로’(61.9%), 국내 감염자 현황(58.5%), 의료기관 정보(34.1%), 예방 생활수칙(31.8%)을 들었다. 현장 직접 취재에 관해서는 ‘기자 안전 확보를 위해 최소화’해야 한다(64.3%)는 응답이 ‘국민 알권리를 위해 직접 취재해야 한다’(35.7%)는 응답을 웃돌았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