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요리는 왜, 세계 입맛 잡고도 세계유산이 못 됐나

중국요리는 왜, 세계 입맛 잡고도 세계유산이 못 됐나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23-10-12 23:59
수정 2023-10-12 23: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요리의 세계사
이와마 가즈히로 지음
최연희·정이찬 옮김/따비
816쪽/4만 8000원

이미지 확대
중국 인민대회당의 국가 연회 요리 중 하나인 ‘펑촨무단’. 마오쩌둥은 “혁명은 손님을 식사에 초대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국가 연회의 식단 표준을 ‘쓰차이이탕’(주요리 네 가지와 탕 한 가지)으로 정했다.  따비 제공
중국 인민대회당의 국가 연회 요리 중 하나인 ‘펑촨무단’. 마오쩌둥은 “혁명은 손님을 식사에 초대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국가 연회의 식단 표준을 ‘쓰차이이탕’(주요리 네 가지와 탕 한 가지)으로 정했다.
따비 제공
우리가 현재 즐겨 먹는 잡채는 조선 시대의 잡채와는 완전히 다르다. 조선의 첫 한글 요리서인 ‘음식디미방’의 잡채 조리법을 보면 오이와 무, 숙주를 생으로 넣고, 삶은 도라지와 게목, 박고지를 가늘게 찢어 간장에 볶는 채소 요리다. 잡채 하면 떠올리는 기름에 볶은 돼지고기와 당면이 들어가는 중국식 잡채 조리법이 대중화된 건 일제강점기 시절인 1920년대다.

인간의 미각에는 ‘국적’이 없지만 각국의 음식과 식문화에는 고유의 독자성이 있다. 그런데도 중국요리는 한 국가 단위의 음식이 세계화된 대표적 사례로 각국 식문화에 침투해 그 나라 음식마저 변화시켰다. 한국의 짜장면과 호떡, 일본 라멘과 교자, 베트남 퍼, 태국 팟타이, 인도네시아 나시고렝, 페루 로모살타도 등은 중국요리가 현지화를 거쳐 각국에 안착한 국민 음식들이다.

일본 학자 이와마 가즈히로가 쓴 ‘중국요리의 세계사’는 19~20세기 격변기 서양의 인종주의와 아시아 각국의 내셔널리즘을 극복한 중국요리들의 흔적을 탐구한 ‘미식 추적기’다. 책 안에 수많은 요리들의 레시피를 담아 읽는 내내 군침이 돌지만, 정치와 음식의 관계를 세계사적 시각으로 풀어낸 의미는 묵직하다.
이미지 확대
한국 짜장면의 원조로 불리는 인천의 공화춘(共和春).  따비 제공
한국 짜장면의 원조로 불리는 인천의 공화춘(共和春).
따비 제공
중국요리의 세계화는 보편적인 맛과 저렴한 한 끼를 가능하게 한 가성비 덕분이다. 세계사적 관점에서는 근현대기 제국주의, 식민주의 확장과 보조를 맞춘 세계화 현상으로 읽힌다. 무엇보다 중국요리는 중국의 대외 확장기보다는 중국이 서양 열강과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을 받고 아시아의 식민지화 과정에서 각국에 급격히 수용됐다. 저자는 중국요리를 판다와 함께 ‘소프트파워’의 원천으로 짚는다.

당면잡채·日라멘·태국 팟타이
지구촌 곳곳 침투한 중국요리
판다와 中소프트파워의 원천

그럼에도 유네스코 등재 실패
저자는 과욕과 이권다툼 꼽아

미식 추적기를 읽는 내내 군침
역사·음식 버무린 메시지 묵직
중국 광둥 요리는 일본, 베트남, 태국의 국민 음식으로 현지화됐고, 푸젠 요리는 인도네시아, 필리핀, 대만 요리의 기초가 됐다고 소개한다. 산둥 요리가 전래된 한국에서 짬뽕이 매워지고, 짜장면이 검어지고 달달해진 것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중국요리의 주체가 화교에서 한국인으로 바뀌며 현지화된 결과라고 설명한다.
이미지 확대
1972년 미중 공동성명 발표 후 리처드 닉슨(왼쪽) 전 미국 대통령과 저우언라이 전 총리가 마오타이주로 건배하고 있다. 3년 뒤 마오타이주는 ‘국주’(國酒)로 선언됐다. 따비 제공
1972년 미중 공동성명 발표 후 리처드 닉슨(왼쪽) 전 미국 대통령과 저우언라이 전 총리가 마오타이주로 건배하고 있다. 3년 뒤 마오타이주는 ‘국주’(國酒)로 선언됐다.
따비 제공
그런데 이런 세계화에 무색하게 번번이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에 실패한 중국요리의 업보도 흥미롭다. 중국은 자국이 원조라고 주장해 온 한국의 김치와 김장 문화가 2013년 등재되자 큰 충격에 빠졌다. 중국요리협회는 2015년 요리사 20명을 선발해 프랑스 파리의 유네스코 본부에서 중국 8대 요리 품평회를 열었다. 미식가들도 접하기 어려운 ‘광스카오야’(광둥식 오리구이), ‘둬자오정위’(후난의 고추 생선찜), ‘원쓰더우푸겅’(청나라 두부 수프) 등 진귀한 요리들을 대접했지만 서양인이 경험할 수 있는 일반 중국 식당의 맛과 간극이 커 오히려 외면당하는 비운을 겪었다.

저자는 2011년 이후 중국요리와 식문화의 세계 문화유산 등재가 연거푸 세 차례 무산된 건 자국 요리와 기술에 대한 지나친 자부심과 국내 정치적 이권 다툼의 산물로 분석한다.
이미지 확대
책 마지막에는 국내 화교사 연구자인 이정희 인천대 교수가 쓴 보론(補論) ‘호떡의 사회사’가 담겼다. 140년 전 화교가 전래시킨 호떡이 어떻게 한국의 K푸드로 진화했는지를 시대별 사건·사고를 통해 풀어낸다.

2023-10-1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