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주/최은미 지음/창비/320쪽/1만 6800원
코로나가 일상 짓눌렀던 2020년
막연한 공포·단절의 시대 이야기
6년 만에 장편으로 돌아온 최은미
“그 시간이 어떤 무늬로 남았을까”
최은미 작가가 ‘아홉번째 파도’에 이은 두 번째 장편 ‘마주’로 독자들과 마주 앉았다. ‘작가의 말’에서 그는 “우리가 팬데믹 속에서 감각했던 타인들이 그 이전을 계속 살아온 사람들인 것처럼, 그 이후를 계속 살아갈 사람들인 것처럼, 이 소설이 가능한 한 그 안에 긴 시간을 품고 있길 바랐다”고 했다.
창비 제공
창비 제공
코로나19에 내몰리던 시절이 불과 얼마 되지 않았음에도 이미 오래된 과거처럼 느껴지는 요즘, 이런 질문을 정교한 서사로 쌓아 올린 이야기가 나왔다. 젊은작가상, 현대문학상 등을 수상하며 문단에서 고유의 영토를 견고하게 다져 온 최은미(45) 작가가 6년 만에 선보인 장편소설 ‘마주’다.
2021년 현대문학상 수상작인 단편 ‘여기 우리 마주’에서 출발한 이야기는 2020년 봄부터 겨울까지의 시간을 펼친다.
새경프라자에 자신만의 공방을 꾸려 온 나리는 ‘코로나19 폭탄에 날아온 수많은 파편들’로 예기치 못한 휘청임을 겪는다. 확진자의 동선이 낱낱이 공유되던 시기, 또래 아이를 키우며 친해진 수미가 확진이 된다. 공방엔 손님이 끊기고 나리는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으로 인터뷰에 응하다 과호흡으로 병원에 실려 간다. 병원에서 자신에게 잠복결핵이 있다는 진단을 받은 그는 어린 시절 그를 품어 주며 ‘찐덕하고 맛난 것들을 쥐여 주던’ 만조 아줌마를 떠올리게 된다. 아버지의 사과밭에서 일하던 아줌마의 일꾼들이 결핵 환자들이 모여 살던 딴산마을 사람들이라는 기억도 포개진다.
서로에게 곁을 내주던 여자들은 의도적으로 혹은 의도치 않게 상대에게 상처를 입힌다. 극단까지 치달은 감정으로 상대와 뒤엉키면서 인물들은 자신의 부서진 얼굴을 발견하게 된다. 해결하지 못한 나와의 관계를 회복하고, ‘내가 나를 온전히 감각해본 순간’을 경험하며 인물들은 타인을 아픔에서 구해 내고 더 깊이 껴안게 된다. 소설은 이렇게 ‘겪고 넘어가야 할 시간’을 통과한 인간과 관계의 맨얼굴을 정교하게 짚는다.
동시에 코로나 시대 우리가 앓았던 통증과, 무심히 지나쳤던 무지하고 폭력적인 사회의 작동을 돌아보게 한다. 공동체의 안전이라는 명목으로 기존에도 고립되고 소외되던 이들이 더 구석으로 내몰리는 장면들은 집단감염과 격리로 60년 만에 세상에 드러난 결핵 환자 마을 딴산을 통해 실감을 더한다.
‘새경프라자 옥상에 올라가면 그 공기가 그대로 느껴졌다. 일년 가까이 이어진 팬데믹에 피로가 누적된 사람들이 곤두설 대로 곤두선 채 숨죽이고 있는 공기가. 텅 빈 역 광장과 중앙공원 위로 미처 터져 나오지 못한 비명들이 뭉텅이째 얼어가는 듯했다.’
“언젠가부터 지나가는 사람을 보거나 새 인물을 구상할 때면 지난 3년의 시간이 어떤 무늬로 그 사람의 오늘에 남아 있을지 생각해 보는 습관이 생겼다”는 작가는 “그 시간을 지나온 사람들의 오늘에, 내일과 모레에, 소설이 못다 한 이야기처럼 가닿을 수 있다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2023-08-2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