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일본책/박훈 지음/어크로스/284쪽/1만 8000원
일본을 지칭할 때 ‘가깝지만 먼 나라’라는 수식어는 정부 입장과는 별개로 한일 관계를 그대로 보여준다. 고르디우스의 매듭처럼 배배 꼬여 풀릴 듯 풀리지 않는 이 관계의 해법은 없을까.
이 책은 일본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반일과 친일이 아닌 ‘지일’(知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지일=친일’로 인식하는 경향이 여전한 한국 사회에 이런 도전적 화두를 던진 사람은 박훈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다. 그는 메이지 유신의 기원과 정치 변혁, 공론, 대외 인식 등 연구를 통해 국내 최고의 일본 근현대사 연구자로 평가받는다.
책은 일제강점의 시발점인 강화도조약부터 메이지유신, 김옥균부터 사카모토 료마까지 한일 근대사의 주요 인물과 장면을 되짚으며 조선의 실패와 일본의 성공을 가른 요인을 분석한다.
19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일본은 열심히 읽고 진지하게 들으며 치열하게 공부하면서 세계 변화에 민감하게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었다. 같은 시기 조선은 2000년 역사상 가장 지리멸렬한 상태였다. 저자가 안타까워하는 대목은 이 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구한말처럼 돼서는 안 된다’며 ‘닥치고 반일’ 구호만 외칠 것이 아니라 당시 역사의 진상을 정면에서 응시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1910년 조선이 망한 이유는 반일 감정이 모자라서가 아니라 메이지유신 이후 40여년간 일본의 변화가 우리 문명에 어떤 의미가 될지 제대로 파악한 사람이 모자랐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해방 후 지금처럼 한일 간 국력 차가 좁혀진 적은 없지만 섣불리 우쭐거리는 것은 독약이 될 수 있다. 저자가 ‘우리는 일본을 경시하는 맨 마지막 나라가 돼야 할 것’이라고 시종일관 주장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2023-08-2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