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이자 최악이던 그때… 지금을 있게한 1990년대

최고이자 최악이던 그때… 지금을 있게한 1990년대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3-08-04 01:02
수정 2023-08-04 01: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모든 현재의 시작, 1990년대/윤여일 지음/돌베개/340쪽/1만 9000원

문화 꽃피어 K컬처 토대 된 시기
IMF 후 개인 무장사회가 되기도

이미지 확대
드라마 ‘응답하라’ 시리즈, PC통신, X세대, 오렌지족, 서태지와 아이들, IMF 구제금융. 이들의 공통점은 ‘1990년대’다.

1990년대는 문민정부의 등장으로 정치적 민주화가 이뤄지고 소비주의가 사회 전반을 지배했던 시기이자 여러 영역에서 다양한 변화가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났던 때다. 그렇지만 풍요의 시기는 오래가지 못하고 1997년 IMF 경제위기로 한국은 국가 부도에 직면하게 됐다. 찰스 디킨스의 ‘두 도시 이야기’ 첫 문장처럼 1990년대는 “최고의 시절이자 최악의 시절”이었다.

저자는 이렇듯 시대적 단절과 변화, 연속성이라는 특징을 모두 지닌 1990년대가 지금의 한국 사회를 만든 시기라고 단언한다. 사회학자인 저자는 호흡이 길고 넓은 안목을 지닌 사고를 만날 수 있는 계간지 등을 통해 문학, 사상, 문화, 지식인 사회, 세대론, 생태 등 열세 가지 관점에서 이 시대를 분석했다.

1990년대는 한국 영화와 대중음악 등 문화가 화려하게 꽃을 피우면서 현재 한류와 K컬처의 토대가 된 시기다. 지금처럼 10대가 대중문화 주요 소비층으로 자리잡기 시작한 것도 이때였다. 당시 패션, 음악, 영화 등을 다루는 다양한 잡지가 속속 출간됐는데 이는 잡지가 사실상 소멸한 지금과 비교했을 때 문화적으로도 풍요로운 시대였다는 방증이라고 저자는 주장한다.

그렇지만 1990년대 후반 IMF 구제금융 이후 신자유주의 질서가 지금까지 한국 사회 전반을 지배하면서 ‘개인이 무장해야 하는 사회’를 만들었다. IMF 구제금융은 밀레니엄 시작 전에 끝났지만 한국 사회는 여전히 IMF가 제시한 시스템 속에 있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책을 덮고 나면 “1990년대는 사회적 사유, 시대적 사유를 통해 미래를 얼마간 믿을 수 있었던 시대였지만 1990년대 이후는 앞을 예측할 수 없고 불길한 예감만 감도는 시대가 됐다”는 저자의 진단에 고개를 끄덕이게 될 것이다.
2023-08-04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