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 디스럽션’ 표지. 출판사 제공
마크 저커버그가 페이스북을 만들 때 내세운 모토다. 지난 20여년간 ‘파괴’는 비즈니스 세계에서 내세운 전투 구호였다. 기업 리더들은 계속해서 기존 산업과 기업을 파괴하는 것이 성장할 유일한 방법이라고 여겨왔다. 많은 사람이 파괴를 ‘혁신’과 동의어로 받아들이기도 했다. 과연 파괴가 혁신의 유일한 방법일까?
‘비욘드 디스럽션’ 공동 저자인 김위찬(오른쪽)과 르네 마보안. 출판사 제공
2018년 라스베이거스에서는 세상 어디에서도 본 적 없는 공연이 열렸다. 벤처 기업인 ‘처치 오브 로큰롤’이 주최하고 록 그룹 그레타 밴 플리트가 참여한 이 행사에는 아주 특별한 점이 있었다. 관객의 절반가량은 청각장애를 가진 이들이었다. 누가, 어떻게 이런 공연을 성공시켰을까? 뮤직낫임파서블(M:NI)이라는 회사였다. M:NI의 크리에이터들은 청각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진동감지기를 개발했고, 청각장애인들은 뇌로 전달되는 진동을 통해 음악을 즐길 수 있었다.
M:NI가 이룬 혁신은 파괴와는 무관했다. 그들은 음악을 접할 수 있으리라고는 상상도 못 했던 사람들에게 기회를 만들어줬다. 기존 시장 또는 산업을 침범하거나 파괴하거나 대체하지 않으면서다. 그 시장은 ‘파괴 없이’ 창조됐다.
국내에서도 위니아만도는 김치냉장고 ‘딤채’라는 비파괴적 시장 솔루션을 창조했다. 딤채는 김치가 전통적으로 발효되고 저장되던 방식을 모방한 혁신적인 가전제품이다. 1996년 출시된 이 제품은 현재 한국 가정의 85% 이상이 구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김치냉장고의 흥행으로 피해를 본 기업은 없었다.
한국의 ‘산후조리원’도 비파괴적 창조의 대표적 사례 중 하나다.
비욘드 디스럽션은 비파괴적 창조라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혁신에 대한 기존의 사고방식을 완전히 깨부순다. 그리고 미래의 일자리는 이 비파괴적 기회를 파악하고 실현하는 과정에서 창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