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 남자의 과학공부’ 출간 동시 1위
경제학을 전공한 유시민 작가는 그동안 인문학 분야 글을 주로 써왔다. 그런데 이번에는 과학책 쓰기에 도전했다. 저자 스스로 골수 ‘문송’(문과라서 죄송합니다)임을 밝히며 책을 시작하고 있다.
유 작가는 “과학을 전혀 몰랐을 때 나는 세계의 일부밖에 보지 못했으며 타인은 물론 나 자신도 잘 이해하지 못했다. 과학책을 읽으면서 예전보다는 훨씬 더 많은 것을 더 다양한 관점에서 살필 수 있게 됐다”면서 “문과도 과학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는 또 현재 인문학이 맞닥뜨린 위기와 한계를 뚫고 나가기 위해서는 과학의 성취를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과학 문해력 키우는 교양서 인기
유 작가의 책은 흔히 만날 수 있는 교양 과학서가 아니다. 저자가 과학책들을 읽으면서 흥미롭게 느꼈던 사실, 지적 자극과 정서적 감동을 준 이론, 인간과 사회와 역사에 관한 생각을 교정해 준 정보를 골라 나름의 해석을 얹은, 일종의 ‘과학을 소재로 한 인문학 잡담’ 서적이다. 유 작가가 과거 출연했던 tvN ‘알·쓸·신·잡’(알아두면 쓸데없는 신기한 잡학사전)의 인쇄판이라고 봐도 된다.
최근 나오고 있는 국내 저자들의 과학 교양서들은 과거처럼 특정 주제의 과학 지식을 제공하기보다는 과학을 통해 세상과 인간을 이해하는 힘, 이를테면 ‘과학 문해력’을 키우는 쪽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김상욱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가 내놓은 신작 ‘하늘과 바람과 별 그리고 인간’(바다출판사)도 결을 같이한다. 이미 ‘김상욱의 과학 공부’라는 책을 펴낸 김 교수는 이번 저서에서는 과학 언어를 통해 세상의 존재들에 관한 이야기를 펼쳐낸다. 그동안 철학의 영역으로 여겼던 ‘죽음이란 무엇인가’라는 문제도 과학적 언어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이다.
그는 “죽음은 소멸이 아니라 원자가 재배열되는 것으로 내가 죽으면 내 몸을 이루는 원자들은 흩어져 다른 것의 일부가 된다”면서 “‘흙에서 왔다가 흙으로 간다’라는 문장은 단순한 은유가 아니라 엄연한 과학적 사실이며 인간은 원자를 통해 영생을 얻는 것”이라고 말한다. 자연과 인간을 묘사하는 많은 문학적 표현이 사실은 단순한 수사가 아닌 과학적 근거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2023-07-0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