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과 진보
대런 아세모글루·사이먼 존슨 지음
김승진 옮김/생각의힘
736쪽/3만 2000원
각각 노벨경제학상에 근접한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 수여자이자 미국 MIT 교수, 국제통화기금(IMF) 수석경제학자를 지낸 두 경제학자는 이런 ‘기술 낙관주의’의 통념을 정면 반박한다.
이 책이 짚어낸 흐름은 지난 1000년간 일어난 기술 혁신의 역사적 패턴이다. 소수가 기술 발전의 혜택으로 막대한 부를 창출한 이면에는 다수의 억압과 희생이 있다. 중세 말 선박 설계의 발달로 활짝 열린 대서양 무역은 역사적인 부를 가져다 줬지만 반대 급부로 수세기 동안 노예 무역이라는 억압적 시스템이 이어졌고, 영국 산업혁명 초기 직물 생산량은 비약적으로 늘었지만 정작 노동계층의 소득은 한 세기 가까이 변화가 없었으며 삶의 여건은 더 악화했다.
두 경제학자는 중세 이후 이같은 기술 발전 뒤의 그림자가 현재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본다. 아마존은 디지털 전자상거래의 혁신을 이뤘지만 산업재해를 관리하지 못해 물류센터의 재해 비율이 전체 물류센터 평균보다 2배 이상 높다. 책은 거대 기업뿐 아니라 정부가 디지털 기술을 권력 집중과 사회 통제 도구로 삼게 되면 민주주의도 위기에 맞닥뜨릴 것이라고 경고한다.
저자들은 기술 발전의 방향을 좌지우지하는 소수의 자본 권력에 도전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그러기 위해선 디지털 시대 노동자의 (재)조직화와 권력에 반대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노동자 권력’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본다. ‘기술 발전=진보=번영’이라는 이 해묵은 등치의 내러티브가 바뀌지 않으면, 나쁜 길로 접어든 기술 진보의 경로도 결코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통찰이 담겼다.
2023-06-30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