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비어린이’ 창간 20주년 세미나
“현실 이해 부족 작품엔 공감 못 해”
‘창비어린이’ 여름호(81호)
문예 계간지 ‘창비어린이’ 여름호(81호)는 ‘동화-이야기의 미래’를 주제로 한 창간 20주년 기념 세미나를 지상 중계했다. 어린이 논픽션 작가 이지유는 ‘동화, 과학철학을 만나다’라는 글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과학 소양은 ‘과학을 이해하고 이를 사회적 경험에 적용하는 것’이다. 과학 관련 내용을 독해하는 능력, 과학을 다루는 매체에 대한 이해와 함께 과학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사회적 책임감, 협력, 공감 등이 과학 소양의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최근 과학 소양의 흐름은 인간을 모든 것의 중심으로 여기는 관점에서 벗어나 모든 생명체와 사물을 세상의 중심에 두는 탈인본주의로 바뀌고 있다. 이 작가는 가르침이나 교훈을 주기 위해 생물이나 무생물을 의인화하는 작품을 두고 “동물이든 식물이든 심지어 돌이든 냄비든 그것을 인간인 자신의 목적만을 위해 쓰고 해석하면 어린이들은 그걸 단박에 알아차리고 흥미를 잃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독자의 수준이 높아지면 얕은 이해로 쓴 작품은 모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어린이가 스스로 결정하고 행동하며 자신의 길을 찾아 나가기보다 과거에 머물러 끊임없이 어른이 제시하는 길을 가도록 만드는 동화도 독자를 불편하게 한다고 지적했다.
이 작가는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SF가 비판받는 이유도 이야기를 거꾸로 쓰기 때문이라고 썼다. SF는 미래에 있을 법한 캐릭터와 사건을 빌려와 현재의 문제에 빗대 서사를 만드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망하는 지름길”이라고 비판했다. 현재의 문제를 현재의 방식으로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다들 알고 있는데 알지 못하는 미래를 끌어들이는 것은 독자들에게 받아들여지기 어렵다는 것이다.
2023-06-2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