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론집 ‘한국비평에 다시 묻는다’ 통해
“박유하 ‘제국의 위안부’ 논리적 모순”
“강제란 총칼뿐 아니라 속임수도 포함”
방민호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방민호 교수 제공
방민호 교수 제공
방 교수는 자신의 일곱 번째 평론집 ‘한국비평에 다시 묻는다’(예옥)에 한국 비평계에서 주도권을 행사해온 ‘식민지 근대화론’을 비판적으로 조명하는 평론 다섯 편을 실었다.
이 가운데 ‘주전장’, ‘제국의 위안부’, ‘새로운 동아협동체론’에서 박 교수는 미국에서 제작된 다큐멘터리 영화 ‘주전장’의 논리를 따라가면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매춘부 등으로 표현한 박유하 세종대 교수의 2015년 저서 ‘제국의 위안부’에 논리적 모순이 있다고 주장한다. 2013년 출간된 박유하 교수의 책 ‘제국의 위안부’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매춘’ 등으로 표현해 큰 논란을 일으켰다.
‘한국비평에 다시 묻는다’
예옥 제공
예옥 제공
이어 “‘주전장’은 박유하가 책의 첫 글 꼭지에서 제기하는 문제들, 예를 들어, 일본 정부가 위안부를 강제적으로 동원했다고 보여 주는 기록은 없다든가, 이 동원에 오히려 적극적으로 참여한 자들은 일본군이나 정부와는 거리가 먼 조선인 협력자들이라든가, 위안부들은 전선에서 일본군 아래 소속되어 있는 경우도 있었지만, 오히려 민간인들도 군인들과 함께 상대하는 ‘공창’ 매춘부 같은 존재들이었다든가 하는 주장을 아주 효율적으로 반박한다”고 평가했다.
그는 “강제란 눈에 보이게 총칼을 동원하여 끌어가는 행위뿐 아니라 속임수나 유인까지 포함해 그 사람의 자유의지가 아닌 의지에 의해 행동하도록 하는 모든 행태”라며 “위안부들이 때로 휴식을 취하고 바깥나들이를 할 수 있고, 군인뿐 아니라 민간인들의 성적 대상이 되기까지 했다는 등의 사실이 있었다 하더라도, 전반적으로 일본군 또는 국가의 지배 아래 그 상태가 예속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는 한, 위안부들이 성 노예 상태에 있었다는 규정은 성립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