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명작 ‘듄’ ‘월드컵 특공작전’ 재출간
황금가지는 프랭크 허버트(1920~1986)의 장편소설 ‘듄’을 20년 만에 신장판 전집(6권)으로 재출간했다.
1965년 미국에서 출간된 ‘듄’은 같은 해 제정된 네뷸러상의 첫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지금까지 2000만부 넘게 판매돼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SF 소설이 됐다. 국내에선 2001년 첫 번역본이 출간된 이후 20년 만에 다시 나왔다.
‘듄’은 허버트가 기자로 활동하던 1950년대 후반 미국 오리건주 해안의 모래언덕에 관한 기사를 쓰려고 이를 조사하며 시작됐다. 모래언덕의 장대한 풍광에 매료된 허버트는 이를 바탕으로 6년간 원고를 집필한다. 소설은 사막 행성 ‘아라키스’를 배경으로 주인공 폴 아트레이데스와 그의 자녀 레토와 가니마가 다른 정치세력들과 벌이는 권력투쟁을 그리고 있다.
1984년에는 데이비드 린치 감독이 ‘듄’을 영화로 제작했고, 오는 10월에는 드니 빌뇌브 감독이 메가폰을 잡은 영화도 개봉될 예정이다.
이번 소설집에는 작가가 장년기에 쓴 수십 편의 중·단편 가운데 표제작 ‘월드컵 특공작전’을 포함한 8편을 엄선해 실었다.
흥미로운 부분은 1980년대 냉전 당시 양대 초강대국이던 미국과 소련의 과학기술을 한국이 앞선다는 상상력이 작품 전체에 깔렸다는 점이다. 예컨대 1983년 소련의 대한항공(KAL) 007 여객기 격추 사건을 바탕으로 한 ‘소련 공습’에서는 한국이 당시 미지의 스텔스 기술을 활용해 소련에 복수한다. 또 ‘덴버에서 생긴 일’은 한국인이 미국에서 억울한 누명을 쓰자 물질에서 기억을 뽑아내는 첨단 기술을 활용해 오해를 푸는 이야기를 그린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21-02-0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