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만들어진 위험/리처드 도킨스 지음/김명주 옮김/김영사/364쪽/1만 6800원
책의 앞부분은 신앙의 근거가 되는 신약과 구약의 모순과 부정확성을 짚는다. 누가 썼는지 짐작할 수 없고, 구전되며 왜곡됐을 수 있다는 점 등을 들어 ‘소설’이라는 주장이다. “예수라 불리는 존재는 있었겠지만, 무덤에서 일어났다든지 하는 비범한 주장에는 충분한 증거가 없다”고 비판한다.
생물학자로서의 장기는 두 번째 부분에서 펼친다. 생물들이 보여 주는 ‘완벽한 설계’는 전능한 창조자가 만든 게 아니라, 자연선택과 수세대에 걸친 진화에 기인한다는 것이다. 치타와 가젤 같은 동물부터 눈송이, DNA 등 여러 예시를 나열한 도킨스는 종교적 믿음을 갖는 경향이나 선하게 행동하려는 경향도 신을 빼고 설명할 수 있다고 본다.
특히 그는 이성과 과학을 강조하는 이유로 ‘지적 용기’를 든다. 다윈과 갈릴레이의 과학적 성취는 창조자가 설계한 것으로 보이는 것에 대해 질문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종교나 통념에 비춰 말도 안 되는 듯 보이더라도 “틀릴 셈치고 그 가능성을 조사해 보자”고 할 용기를 내야 답에 다가갈 수 있다는 것이다. 원제(Outgrowing God)의 아웃그로(Outgrow)는 성장하고 성숙하면서 어떤 생각이나 습관을 버린다는 뜻이다. ‘위험’이라는 한국어판 제목보다,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아가는 책의 성격을 더 잘 드러낸다.
그러나 책을 덮고 나서도 종교와 과학, 두 가지로는 뭔가 부족하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이성과 과학은 끊임없이 발전하는데 왜 비이성과 종교의 힘은 점점 강력해질까. 교리를 바탕으로 한 극단 세력은 왜 팽창할까. 신을 믿는 것은 이미 과학과 무관한 일이 아닐까. 또 다른 질문을 끌어내는 인문서로서, 진화생물학의 대중적인 설명서로서 책은 흥미롭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2021-01-2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