텅 빈 지구/대럴 브리커·존 이빗슨 지음/김병순 옮김/을유문화사/368쪽/1만 6500원
여론조사 전문가 대럴 브리커와 정치분석가 존 이빗슨의 ‘텅 빈 지구’는 인구 감소가 가져올 전 세계적 파국에 관한 날카로운 문제를 제기한다. 불과 몇십 년 전만 해도 인류는 인구 급증을 걱정했다. 우리나라 산아제한 표어만 봐도 알 수 있다. 1970년대 “둘만 낳아 잘 기르자”는 표어는 양반이었다. 1960년대 산아제한 표어 “덮어 놓고 낳다 보면, 거지꼴을 못 면한다”는 가히 저주에 가깝다.
저자들은 먼저 인구 감소의 원인을 분명하게 짚고 넘어간다. 과거 인구 감소는 자연재해, 전염병, 전쟁 등 특별한 원인이 있었지만, 오늘날 인구 감소의 단 하나의 원인은 경제적 양극화라는 것이다.
최근 젊은 세대가 아이를 낳지 않는 이유는 출산, 양육, 교육으로 이어지는 모든 과정에서 막대한 돈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출산과 양육을 돈 때문에 포기하는 게 말이 되냐는 한가한 소리를 할 때가 아니다. 살 만한 나라에서만 일어나는 일도 아니다. 중동과 아프리카에서도 출산율이 꾸준히 감소한다. 선진국 모범을 따라 경제 발전에 올인한 개발도상국들은 도시화가 가속된다. 아이들이 노동력의 한 축이었던 때는 농사나 지을 때였다. 도시 아이들은 양육비와 교육비가 얼마나 들지 알 수 없는 부양가족 중 하나다.
책은 한국을 비롯한 각 나라가 처한 인구 감소 상황을 소상하게 밝힌다. 저자들이 세계 곳곳을 직접 발로 뛰며 썼기 때문이다. 인구 감소에 대응할 수 있는 이렇다 할 처방을 제시하진 않는다. 세계가 이미 답을 알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양극화를 가져오는 수많은 상황을 완화하는 일, 하여 모든 사람이 저마다 가치로 인정받는 세상이 오면 인구 감소 문제는 해결될 수도 있다. 코로나19의 위협이 언제 사라질지 알 수 없지만, 앞으로 우리 앞에 이보다 더한 파국이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출판도시문화재단 문화사업본부장
2021-01-2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