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할머니는 동네 어디서 도둑이 들면 쫓아가 잡아. 도둑들이 할머니 앞에 와서 살려 달라고 싹싹 빌곤 했어.”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빨리 놀자 삼총사의 ‘허풍놀이’다. 같은 아파트 단지에 사는 초등학교 3학년 해령, 수미, 예은이는 놀이로 똘똘 뭉친 삼총사다. 이들은 이름 대신 당근, 시금치, 맛살이라는 별명으로 통한다. 해령은 당근을 싫어해서, 수미는 시금치를 싫어해서, 예은이는 얼굴도 팔다리도 하얗지만 도톰한 두 볼이 발그레한 게 맛살을 닮아서 붙여졌다.
삼총사가 하는 놀이의 반은 싸움이다. 온갖 법석을 떨며 뒹굴고 구르며 놀다가도 티격태격 싸운다. 하지만 아무리 싸우고 토라져도 다음날이면 까맣게 잊는다. 재미있는 놀이가 얼마나 많은데 한시라도 시간을 낭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삼총사의 다툼이 가장 적은 놀이는 ‘김밥놀이’다. 다들 김밥을 좋아해서 시작한 놀이다. 이불 위에 벌렁 드러누우면 해령이 언니가 김밥을 말듯 이불을 돌돌 만다. 마는 대로 방바닥을 이리저리 굴러다닌다. 김밥놀이가 끝나면 병원놀이가 이어진다. 이불에 돌돌 말려 돌아가다 보면 “아이고, 다리야”, “아이고, 허리야” 하는 말이 절로 나오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놀면서 자라야 한다고 하면서도 막상 놀지 못하게 하는 현실에 반기를 들었다. 함께 뛰어노는 놀이의 재미와 기쁨을 마음껏 맛보게 하는 동화다. 어릴 적 한번쯤은 해 봤을 병원놀이, 눈싸움놀이 등이 아기자기하게 펼쳐지며 제대로 놀지 못하는 요즘 아이들의 숨통을 틔워 준다.
작가는 “아이들을 놀지 못하도록 하는 건 식물에게 햇빛을 막는 것과 같다. 어릴 적 햇빛 속에서 놀아 봐야 어른이 됐을 때 우울증에 안 걸린다. 그 어떤 것에도 굴하지 않는 절대 긍정성은 어릴 때 실컷 논 시간만큼 형성된다”고 말했다.
작가는 지금껏 90여권의 작품을 냈다. 발랄한 상상력과 현실적인 감수성으로 어린이들에게 꼭 필요한 부분을 채워주는 대표적인 동화 작가다. 초등 저학년.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3-0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