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로 전 세계 5대륙, 50여 나라, 4만㎞를 달린 저자가 전하는 자전거 이야기다. 기본적으로는 자전거의 발전 과정이 주요한 얼개다. 여기에 사회, 문화, 여성 등 여러 분야에서 자전거가 가져온 의미 있는 변화상을 얹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근대화의 시기에 자전거는 ‘두 바퀴의 복음(福音)’이었다. 실용적인 이동 수단을 넘어 사회적 변화를 이끄는 도구로 작동했다. 예컨대 유럽의 대중에게 자전거는 귀족들의 말(馬)과 다름없었다. 저자는 이 같은 현상을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노동자 계층이 기동성을 갖추게 된 사건”으로 본다. 노동자 계층의 먼 거리 출퇴근이 가능해지면서 도시의 지리적 모습도 바뀌었다. 많은 이들이 교외로 생활 반경을 넓혔고, 덩달아 도시 빈민 지역의 공동 주택들은 빈집이 돼 갔다. 문화와 체육, 건강 등 여러 분야에서 노동자들의 자아 개선 욕구가 분출되면서부터는 시골에도 도시의 삶이 반영되기 시작했다. 엄격했던 계급과 성별의 장벽도 하나둘 무너졌다. 우리가 흔히 자전거를 두고 표현하는 ‘두 바퀴의 자유’란 바로 이 대목에서 진정한 가치를 갖는 것이지 싶다.
책은 발로 땅을 차며 움직여야 했던 1817년의 드라이지네로부터 시작되는 자전거의 역사, 여성이 자전거를 타면 성적으로 자극될 수 있다며 우려했던 빅토리아 시대의 일화, 자전거와 사랑에 빠졌던 유명 인사들의 이야기 등을 생생하게 들려준다. 모든 부품이 훤히 드러나 보이는 완벽한 투명성과 고전적 절제의 미학, 부품들이 맞물려 돌아가는 청각적 아름다움까지, 자전거가 선사하는 기쁨이라면 사소한 것 하나도 놓치지 않는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5-02-2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