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책]

[당신의 책]

입력 2015-02-27 18:10
수정 2015-02-28 01: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성한 경제학의 시대
(찰스 아이젠스타인 지음, 정준형 옮김, 김영사 펴냄) 세계 지성계에서 자본·경제·사회·문명을 망라한 통합 사상가로 주목받는 젊은 학자가 고대 선물경제부터 자본주의 이후까지의 화폐 역사를 추적했다. 인류의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교환 방식이 선물이었음을 밝힌 게 흥미롭다. 화폐 시스템이 소외·경쟁·결핍·공동체 파괴를 부른 이유며, 인류가 끝없는 성장을 갈구하도록 만든 과정을 명쾌하게 풀어냈다. 오랫동안 이어져 온 ‘축적 재산’의 부당함을 바로잡고, 소수의 다수 착취를 개선하는 측면에서의 새로운 화폐 시스템이 제시된 점이 큰 특징이다. 무엇보다 ‘분리’의 경제적 핵심 특징들을 확인시켜 공동체, 관계, 문화, 생태계, 지구의 균열을 온전하게 회복시킬 재통합의 경제를 모색한다. 대전환기를 보내는 개개인의 입장과 ‘올바른 생계수단’은 무엇인지에 대해 많은 부분을 할애했다. 536쪽. 2만 5000원.


하우스 스캔들(루시 워슬리 지음, 박수철 옮김, 을유문화사 펴냄) 영국 역사학자가 집의 역사를 다룬 BBC 시리즈에 참여한 뒤 내놓은 책. 때론 낯 뜨겁지만 그래서 더 매력적인 가정에 얽힌 인간생활사를 그려 냈다. 침대와 수면의 역사, 성병, 목욕의 몰락과 부활, 화장과 화장실, 욕실의 탄생, 하수 설비의 기적, 화장지 역사, 요리에 익숙한 남자들, 힘겨운 설거지…. 집의 이색 ‘공간 탐험기’랄까. 주택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방(침실, 욕실, 거실, 부엌)을 거쳐 오면서 사람들이 침대, 욕조, 탁자, 화덕에서 했던 행위들을 살폈다. ‘사소하고 이상하고 기발하며 잡다해 보이는 것들이 혁명 같은 중대한 사회변화를 보여 주는 재료가 될 수 있다’는 게 저자의 관점. 과거의 침실은 사람들로 붐비는 공적인 장소였고, 19세기에 이르러서야 취침과 성생활만을 위한 곳이 됐다고 한다. 394쪽. 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관찰의 인문학(알렉산드라 호로비츠 지음, 박다솜 옮김, 시드페이퍼 펴냄)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개의 사생활’ 저자의 신작. ‘같은 길을 걸어도 다른 세상을 보는 법’이란 부제 그대로 산책하고 관찰하며 깨닫는 사유의 아름다움을 강조한다. 저자는 뉴욕 맨해튼의 동네 길을 전문가들과 함께 걸으며 주목받지 못한 것들에 주목해 보기로 하고 첫 대상으로 자신을 선정, 혼자 걷기에 나섰다. 충분히 보고 듣고 느꼈다고 생각했지만 11명의 관찰 전문가들과 함께 걷고 난 뒤 자신이 거의 모든 것을 놓치고 있었음을 깨달았다. 아기와 함께 나선 길은 호기심과 기쁨으로 가득 차 있었고, 의사의 눈으로 바라본 군중은 모두 잠재적 환자들이었으며 시각장애인과 걷는 일은 오감을 열어 주었다. 저자는 가상의 것들에 쉴 새 없이 몰두해 있는 현대인들에게 이런 과제를 남긴다. ‘혼자 걸으며 나 자신과 대화하라, 누군가와 함께 걸으며 서로 관찰한 세상을 공유하라.’ 356쪽. 1만 4000원.


책의 문화사(데틀레프 블룸 지음, 정일주 옮김, 생각비행 펴냄) 문자, 기록, 인쇄, 단행본 등 문화사적으로 책을 들여다본 흥미로운 작품. 크게 네 가지의 매체 혁명을 따라가는 흐름으로 지금까지의 책 변천사를 들췄다. 육체의 기억에서 문자 기억으로, 파피루스 두루마리에서 코덱스 도서 형태로, 필사본에서 인쇄본으로, 인쇄본에서 다시 디지털 도서로 변모하는 과정과 그에 얽힌 에피소드며 의미들을 들여다보았다. 당연히 구텐베르크의 활판 인쇄술을 가장 거대한 매체 혁명으로 평가한다. 하지만 앞으로 닥칠 매체 혁명은 그보다 훨씬 더 파격이고 충격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네 번째 매체 혁명인 디지털, 즉 전자책에서는 그 과정이 광속으로 완수된다는 것이다. 336쪽. 2만 5000원.

2015-02-2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