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청나라는 ‘오랑캐’의 나라였다. 두 차례나 호란(胡亂)을 일으켜 우리 민족을 겁박했으니 ‘철천지원수’이기도 했다. 오늘날까지도 대다수의 한국인이 생각하는 만주족과 누르하치는 오랑캐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누르하치는 결코 오랑캐 출신의 정복자로만 평가받을 인물이 아니다. 선조에게 물려받은 13벌의 갑옷과 약간의 병사를 밑천 삼아 요동 건주(建州) 지역에서 기반을 다진 그는 무예와 전략·전술로 대륙을 정복한 발군의 만주족 무장이었다. 동시에 노련한 지략가이자 외교가였으며 팔기(八旗) 제도와 만주문자의 발명으로 만주족의 정체성을 확립한 문화적 리더이기도 했다.
새 책 ‘누르하치’는 청 제국의 건국 시조로 ‘제2의 칭기즈칸’이라 불리는 누르하치를 촘촘히 그려 낸 평전이다. 명나라와의 교역으로 생계를 잇던 변방의 여진족 소년으로 태어난 누르하치가 명 조정의 신임을 받는 지도자로 지위를 굳힌 뒤 마침내 명나라를 무너뜨리고 청 제국의 기틀을 세우기까지의 과정을 그리고 있다. 극적인 생애 속의 일화들과 잘 알려지지 않은 탁월한 면모, 그리고 인격적 결함까지, 누르하치라는 역사 속 개인의 면모를 입체적으로 되살려 냈다.
누르하치는 만주족이었다. 그는 요동 지역 곳곳에서 ‘말갈’, ‘여진’ 등 부족 단위로 살아오던 일족을 규합해 만주족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했다. 아울러 누르하치와 영향을 주고받은 조선 등 당대 동북아 주요 세력들과의 관계도 눈여겨볼 부분이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5-01-3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