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쩔 수 없는 필멸의 존재 그리스 영웅담 비틀어 보기

어쩔 수 없는 필멸의 존재 그리스 영웅담 비틀어 보기

입력 2015-01-30 17:54
수정 2015-01-30 18: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대 그리스의 영웅들/그레고리 나지 지음/우진하 옮김/시그마북스/1084쪽/4만 5000원
이미지 확대


세상이 복잡다기해지면서 여러 분야의 영웅이 다양하게 거론된다. 하지만 영웅의 시원은 대개 고대 그리스의 신화로 거슬러 오른다. 그리스신화 속 영웅들은 지금 통념을 훨씬 뛰어넘는 초인적 능력을 가져 만인의 귀감이 되거나 지도자로 인식되기 일쑤다.

‘고대 그리스의 영웅들’은 일반인이 갖고 있던 영웅들, 특히 영웅에 대한 개념을 색다르게 해석한 독특한 책이다. 하버드대 교수가 BCE 8~BCE 4세기에 걸친 다양한 기록을 분석해 거의 통념으로 굳어진 ‘불멸’의 영웅 위상을 조금 비틀어 정리했다. 고대 그리스어로 된 호메로스 서사시 일리아스·오디세이아, 아이스킬로스·소포클레스·에우리피데스의 비극, 사포·핀다로스의 시, 플라톤의 대화를 분석해 영웅에 대한 종교적 개념을 풀었다.

그 핵심은 영웅의 필멸성이다. 고대 그리스 전승에 따르면 영웅은 남녀 구분 없는 ‘불멸의 존재’라는 신의 후예였다. 저자는 조금 색다르게 본다. 그 핵심은 필멸성이다. 영웅은 인간을 초월하는 능력을 부여받아 신처럼 특별한 숭배의 대상이었지만 결국 죽음을 피할 수 없는 필멸의 존재라는 것이다.

이를테면 서사시 ‘일리아드’의 가장 위대한 영웅인 아킬레우스만 하더라도 그 아버지가 분명히 필멸하는 인간이었으므로 아킬레우스도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죽을 수밖에 없는 운명에 처한다. 다른 모든 그리스 영웅도 수명이 아무리 길다 해도 결국 죽는 존재인 것이다. 신들의 우두머리인 제우스의 피를 받은 헤라클레스도 불멸성을 얻기 위해 한 번은 죽어야 했다. 책의 메시지는 이렇게 모아진다. “신들은 죽음이라는 궁극의 고통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존재인 반면 서사시 속 영웅들은 반드시 죽게 되며 우리 인간도 언젠가는 죽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사실은 우리가 인간임을 확인시켜 준다.”

김성호 선임기자 kiomus@seoul.co.kr
2015-01-3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