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 그랬듯, 지금도 인간과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건 테크놀로지다. 눈부시게 발전할 과학기술에 힙입어, 미래엔 인간에 대한 지배력을 더욱 강화할 게 분명하다. 이는 수많은 학자들이 예견해온 바다. 이처럼 극심한 변화의 시기에 필요한 건 뭘까. 새로운 세계 지형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평가다. 새 책 ‘위대한 해체’의 지향점도 이와 다르지 않다. 제조업, 금융, 미디어산업의 위기를 진단하고, 과연 있기나 할까 의심스러운 ‘생존 비법’을 모색하고 있다.
저자는 새로운 세계 지형이 파편화, 융합화, 초연결(Hyper-connected)의 세 가지 특징으로 정의된다고 말한다. 시발점은 ‘해체’다. 기존의 모든 영역들이 훨씬 작은 규모로 파편화된다. 이어 접근성이 확장되면서 더 많은 후발 주자가 유입되고, 모든 영역에서 선택의 폭이 확대된다. 경제가 점차 분산화되는 것이다. 파편화된 산업과 비즈니스는 충돌하고 융합하면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한다. 이를 강력하게 뒷받침하는 건 인터넷이다. 사람 간의 연결을 넘어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을 연결함으로써 주변의 모든 것을 살아 움직이게 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은행 같은 전통적인 금융기관은 덩치가 커서 정보통신기술 혁명의 영향권 밖에 있을 것 같지만, 저자는 크라우드펀딩(crowdfunding)처럼 사용자 사이에 직접 이루어지는 금융 때문에 해체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극심한 해체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인간에겐 단 하나의 길이 놓인다. 테크놀로지가 지배하는 흐름에 올라타는 것. 선택의 여지는 없다. 한데 걱정도 된다. 테크놀로지 혁명의 시대에 찾아올 부작용은 대체 누가 고민해야 하는 걸까.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5-01-24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