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의 바다’ 인터넷이 널리 퍼지지 않고 상용화가 덜 된 시절, 인터넷은 현실을 넘어 모든 것을 가능케 하는 꿈과 희망의 영역이었다. 하지만 상용 20년이 지난 지금 인터넷은 순기능에 대한 찬사보다는 역기능의 우려가 더 큰 대상으로 바뀐 모습이다.
‘인터넷 빨간책’은 인터넷 이용자 4000만 시대를 신랄하게 분석, 비판한 책으로 눈길을 끈다. 정보가 공유와 나눔의 대상이기보다는 자본화하고 수직적으로 축적되는 위기의 인터넷을 패러디라는 문학적 장치를 이용해 해부해 흥미롭다. 사이버 스페이스와 디지털 문화를 국내에 처음 소개하고 연구 주제로 삼아 ‘1세대 디지털 사회학자’라 불리는 저자가 작정하고 펴낸 첫 번째 인터넷 대중서다.
책에서 인터넷 사회에 포함된 개인은 가축으로 정의되고 그 개인이 뛰어노는 인터넷 세상은 ‘똥 바다’로 묘사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며 플랫폼 기업들은 개인 일상을 정보화한 빅데이터를 통해 끊임없이 감시하고 행위를 제한한다. 그에 대한 비판 없이 놀이와 소비에 매몰돼 마치 가축처럼 길들여지는 존재에 대한 고발인 셈이다. 온갖 잡스러운 정보와 외설이 판치는 ‘똥 바다’의 인터넷이 한국 사회를 ‘가축의 왕국’으로 몰아가고 있다는 경고가 설득력 있게 다가온다.
정보의 오염과 상업적 이용, 감시와 통제, 생각 없는 이끌림…. 인터넷 주변에서 만연한 부정적 세태를 풍자와 패러디로 드러내는 점이 독특하다. 취업난에 허덕이는 수많은 잉여 세대의 비뚤어진 욕망을 ‘아큐정전’에 빗대는가 하면 가축으로 길들여지는 디지털 개인들을 ‘십계’의 형식으로 고발한다. 일방적인 설명이 아니라 다양한 문학 형식을 통해 과거와 현재, 현실과 몽상을 뒤섞어 풀어낸 23편의 글이 한국 사회 그 자체의 고발로도 다가오는 독특한 장르의 책이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5-01-1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