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책]

[당신의 책]

입력 2015-01-16 17:52
수정 2015-01-16 17: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한일관계 이렇게 풀어라
(NEAR재단 편저, 김영사 펴냄)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을 맞아 양국의 학자들이 낸 한·일 관계 해법 총서. 지난해 8월 제주도에서 ‘위기의 한·일 관계 어떻게 타개할 것인가’란 주제로 열린 콘퍼런스의 담론을 한 권으로 압축했다. 24명의 전문가들은 대체로 올해 한·일 관계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데 동의하며, 그런 차원에서 주요 쟁점들을 정리했다.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한·일 관계, 동북아 전체의 역사적 흐름을 개관하고 한·일 간 새로운 파트너십의 필요성과 실천방향을 제시한 게 특징이다. 냉전 이후 미국과 중국의 외교·안보전략, 북·일 합의에 따른 동북아 지형변화, 양국 정권과 언론으로 본 역사인식도 눈길을 끈다. 경색국면 탈피를 위해 고노 담화에 바탕을 둔 위안부 문제 조기해결이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있는가 하면 북·일 관계 진전이 한·미·일 3각 공조체제를 붕괴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들어 있다. 한쪽에 치우치지 않은 객관적 시각의 공유 측면에서 눈길을 끄는 책이다. 476쪽, 2만 2000원.

이미지 확대
인문학 공항을 읽다
(크리스토퍼 샤버그 지음, 이경남 옮김, 책읽는귀족 펴냄) 과학의 발달로 특별하면서도 일상적인 공간으로 자리 잡은 공항. 그 공항은 현대인들에게 그저 비행기를 타고 내리는 장소를 넘어 다양한 감성적 의미까지 함축하는 공간이다. 떠나고 도착하는 곳, 헤어지고 만나는 곳이라는 물리적 공간 의미는 물론 테러의 공포가 도사리는 위협의 장소이기도 하다. 그런가 하면 다양한 계층이 모이는 계급 충돌의 긴장감까지 발견할 수 있다. 책은 그런 공항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낱낱이 파헤쳤다. 문학작품 속 공항의 모습을 찾아내 공항의 새로운 모습과 존재의 의미를 발견하도록 안내한다. 문학작품에 자크 데리다며 프로이트, 미셸 푸코, 니체 등을 연결해 풀어내는 인문학적 시선이 흥미롭다. 동서양의 문학작품, 시·소설을 넘나드는 저자의 글을 따라가다 보면 공항에 대해 전혀 다른 시선을 갖게 된다. 공항에서 일한 적 있는 대학교수의 생생한 체험에 바탕을 둔 문학평론식 글쓰기가 도드라진다. 368쪽. 1만6000원.

이미지 확대
혁명의 맛
(가쓰미 요이치 지음, 임정은 옮김, 교양인 펴냄) 요리는 문화의 깊이를 알 수 있는 척도이자 역사의 거울이라고 한다. 생활상과 철학이 고스란히 스민 때문이다. 그 음식을 소재로 중국 역사를 들여다본 책은 문화사이자 흥미로운 풍속사로 읽힌다. ‘황제들의 중국’부터 루쉰 시대를 거쳐 ‘공산당 중국’과 문화혁명기, 지금 중국까지를 정리한 ‘혀’의 탐사기. 한족·몽골·여진 등 다양한 민족이 대립하고 융합했던 역사가 음식문화로 이어졌음을 증명한다. 중국 4대 요리의 특징과 기원은 물론 세계적으로 유명한 중국 요리의 탄생 과정을 일본인 미식가 입장에서 들려준다. 젓가락 식사의 시작이며 만주족·한족의 진미 150가지를 한 상에 올린 만한전석의 정치적 의미도 소개된다. 마오쩌둥 어록 암송이 필수였다는 1970년대 거민식당 등 역사의 현장을 통해 마오쩌둥 시대의 맨 얼굴도 그려냈다. 352쪽. 1만 6000원.

문명이 낳은 철학 철학이 바꾼 역사1
(이정우 엮음, 길 펴냄) ‘문명은 철학을 낳고, 철학은 역사를 바꾼다?’ 동서양의 역사를 각 시대의 기초였던 철학 요체와 함께 들여다본 책. 제목 그대로 역사와 철학이 서로 개입하며 변화를 이뤄내는 과정을 알기 쉽게 정리했다. 유가와 유교, 도가와 도교, 법가, 불교, 성리학, 양명학 등이 그 주인공이다. 근대 동북아의 사상들이 춘추전국시대의 중국과 인도문명, 중국 송·명·청나라, 17세기 조선을 비롯한 동아시아를 배경으로 태어나 다시 그 시대를 결정적으로 바꿔 놓은 과정을 풀어냈다. 그리스 로마·중세 기독교 문명의 철학과 르네상스, 근대 인식론과 정치철학까지 다뤘다. 당대의 역사적 현실에 대한 고민에서 철학이 태동하고 성장함을 보여 준 뒤 오늘의 역사적 현실에 대한 성찰로 연결하고 있는 게 책의 특징이다. ‘철학은 당대의 역사와 함께 봐야 의미를 온전히 파악할 수 있다’는 시각과 서술이 신선하다. 400쪽. 2만 2000원.

2015-01-17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