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자와 세이지씨와 음악을… ’
일본을 대표하는 작가와 마에스트로가 만났다. 수십 년간 음악가로서 작가로서 각자의 자리에서 큰 산을 이룬 두 거장의 만남이다. 무라카미 하루키가 음악, 인생에 대해 묻고 오자와 세이지가 답했다. ‘오자와 세이지씨와 음악을 이야기하다’(비채)에서다.

학창 시절, 사이토 기넨 오케스트라가 탄생한 근원점인 스승 사이토 히데오에 대한 추억, 뉴욕 필 부지휘자 시절 레니 번스타인과의 에피소드,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빈 국립오페라극장 음악감독 재임 시절 이야기 등 오자와의 음악 인생을 반추했다. 악보 해석 같은 전문 지식부터 베토벤, 브람스, 말러 등 일반 교양 수준의 클래식 이야기까지 두루 나눴다.
둘은 비슷한 점도 있다. 오자와는 음악 안의 자음과 모음에 귀를 기울이고 하루키는 글을 쓸 때 리듬을 중시한다. 무라카미는 말한다. “나는 오자와씨가 조금이라도 더 오래, 조금이라도 더 많이 ‘좋은 음악’을 이 세상에 선사해 주시길 진심으로 희망한다. ‘좋은 음악’은 사랑과 마찬가지로 아무리 많아도 지나치지 않다. 그리고 그것을 소중한 연료로 삼아 살기 위한 의욕을 충전하는 사람들이 세상에 이루 셀 수 없이 많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1-1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