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구스틴 하델리히. 빈체로 제공
평범한 일상이 하루아침에 무너졌지만 하델리히는 음악에 온 열정을 바쳐 다시 일어섰고 2006년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인간 승리가 무엇인지 보여줬다. 그리고 이후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로서 전 세계 곳곳에서 자신의 연주를 들려줬다. “바이올린을 연주할 때의 모습이야말로 가장 저다운 모습이라고 생각한다. 제 인생을 음악과 함께 보낼 수 있어 감사하다”는 그의 말은 평범하지만 특별히 더 깊은 감동이 있다.
지난해 서울시향 ‘올해의 음악가’로 선정돼 한국 관객과 만났던 하델리히가 1년 만에 다시 한국을 찾아온다. 오는 27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공연을 시작으로 경기 고양(28일), 경북 안동(30일), 경남 통영(7월 1일)으로 이어지는 순회공연이다. 28일 리사이틀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스위스 명문 악단 루체른 심포니와 함께 여덟살 때 처음 했던 베토벤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연주한다. 베토벤 역시 고난을 이긴 예술가라는 점에서 하델리히의 베토벤 연주는 남다른 울림을 전한다.
아우구스틴 하델리히. 빈체로 제공
화상을 이겨낸 불굴의 의지와 베토벤 협주곡 이외에도 하델리히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게 유튜브다. 그의 채널을 구독하는 사람은 약 7만명에 이르고 동영상도 192개나 올라와 있다. 특히 팬데믹 기간 팬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그는 “영상을 몇 개 만들고 나면 주제가 금방 떨어질 것 같았는데 오히려 아이디어가 점점 많아졌다”며 “여전히 영상을 가끔 올리고 싶은데 공연이 많아져서 예전처럼 자주 올리기는 어렵다”고 아쉬워했다.
독일인 부모와 이탈리아 토스카나에서 자란 하델리히는 스무살부터 미국 줄리어드에서 공부한 복합적인 배경을 갖고 있다. 그런 그에게 한국 역시 그의 인생에 특별한 나라 중 하나다. 뉴욕에서 한식을 먹으러 한인타운에 자주 갔고, 한국 프로게이머들의 스타크래프트 경기를 지금도 찾아보고 있다.
한국 관객들을 “열정적이고 따뜻하고 친절한 관객”으로 기억하는 그는 “음악가로서 제 목표는 음악이 가진 메시지를 관객에게 최대한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라며 멋진 공연을 예고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