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주년 라일란트 예술감독
여름까지 16명 단원 추가 채용
레퍼토리 확장·큰 작품 연주
단원 부담 줄여 연주 수준 향상
내년 한국음악 정리한 음반 발매
지휘자 워크숍·장애인 캠프 등
클래식 저변 확대 위한 사업도
![다비트 라일란트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예술감독이 1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악단의 운영 방향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2/14/SSC_20230214000845_O2.jpg)
연합뉴스
![다비트 라일란트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예술감독이 1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악단의 운영 방향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2/14/SSC_20230214000845.jpg)
다비트 라일란트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예술감독이 1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악단의 운영 방향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라일란트는 1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국립의 이름에 걸맞게 악단의 정체성을 세우고, 어떤 작품을 만나더라도 부족함이 없게 유연성을 갖추고, 폭넓은 레퍼토리로 관객들을 만날 수 있도록 중점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가장 눈에 띄는 사업은 단원 추가 채용이다. 국립발레단, 국립오페라단 등의 연주까지 맡는 국립심포니는 지난해 113회를 연주했는데 100명 정원에 78명의 단원으로 연주를 감행하다 보니 피로도가 컸다.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단원들의 처우 문제가 거론됐을 정도다.
라일란트는 “여름까지 단원을 16명 확충할 계획”이라며 “단원이 늘면 레퍼토리의 확장이나 보다 큰 규모의 현대 작품들의 연주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국립극장에서 열린 국립심포니 신년음악회 공연 장면. 국립심포니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2/14/SSC_20230214000900_O2.jpg)
국립심포니 제공
![지난달 국립극장에서 열린 국립심포니 신년음악회 공연 장면. 국립심포니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2/14/SSC_20230214000900.jpg)
지난달 국립극장에서 열린 국립심포니 신년음악회 공연 장면.
국립심포니 제공
국립심포니 제공
아울러 “하이든이나 모차르트 등 고전 작품들을 잘 다루는 게 일차적으로 중요하고, 규모가 큰 낭만주의 작품이나 한국에서 잘 연주되지 않는 대규모 작품에도 도전할 것”이라는 목표도 드러냈다. “이런 과정에서 독일·프랑스·러시아 등 다양한 전통의 음악을 다루고, 동시대 작품들에도 계속 관심을 가질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국립 단체인 만큼 국립심포니는 클래식 저변 확산에도 힘쓸 예정이다. 국제지휘콩쿠르나 연간 30회 이상의 지방 공연, 음악 전공생 대상 멘토링 시행, 청각장애인을 위한 음악 캠프, 지휘자 워크숍, 국립중앙박물관 공연 등을 진행한다. 기념품 제작에 폐현수막과 폐악보, 폐기 원단 등을 활용함으로써 환경 이슈에도 대응한다.
라일란트는 “국립오케스트라가 해야 하는 중요한 역할 가운데 하나는 국민과 함께하는 오케스트라가 되는 것”이라며 “국립오케스트라는 국민 곁에서 감정적 영역을 지원해 주는 사명이 있다고 생각한다. 오케스트라와 일반 관객들 사이의 거리가 먼 것이 아니라 조금 더 다가갈 수 있도록 여러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음악적 초상을 담은 앨범도 2024년쯤 발매할 예정이다.
최정숙(54) 국립심포니 대표이사는 “2021년 대비 개인 유료회원이 131.2%, 후원회 가입자가 1300% 늘었고 후원금도 1700% 증가했다”면서 “지속적인 수입 구조 다각화로 재정 자립도를 높여 단원들의 기본급을 안정시키고 국립이 할 수 있는 특별한 역할에 중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2023-02-1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