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이설 소설가
그 작품이 왜 좋았을까. 무수한 뭉크의 작품 중에서 하필 그 작품이. 아무래도 나의 이십 대의 앞날이 작품 속 소녀가 맞이할 죽음처럼 내내 짙고 어두운, 희망이라고는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미래라고 여겼기 때문이었을까.
나의 이십 대는 실패의 경험밖에 없다. 원하던 대학에 붙지 못했고, 연애는 늘 엉망으로 끝났으며, 가족은 투병 생활을 했고, 나는 세상이 바라는 그럴듯한 사회의 일원이 되지도 못했다. 겨우 찾은 소설가라는 꿈은 너무 멀리에 있는 별이어서, 응모한 원고는 보내는 족족 떨어지기만 했다.
그때마다 나는 그림을 보았다.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열패감과 차마 드러낼 수 없는 자괴감에 절어갈수록 그림 속으로 파고들었다. 그저 그림을 하염없이 응시하는 것. 가만히, 오래, 정성을 다해 들여다보면 그림에서 이야기가 피어올랐다. 그림은 때때로 나에게 안부를 묻기도 했고, 종종 나에게 아주 오래된 옛날이야기를 들려주기도 했다. 가끔 입을 꾹 다물 때면 나 역시 지루해하지 않고 곁에서 오래 기다려 주었다. 물론 대체로 하소연이나 넋두리를, 즐거운 일화를, 슬프고 분한 일을 떠들어댔다. 고개를 끄덕여 귀 기울이다 보면 어느 순간 새 소설이 완성돼 있었다.
그 뒤로 빌헬름 함메르스회이, 케테 콜비츠, 조지 투커, 르네 마그리트, 프랜시스 베이컨, 오딜롱 르동, 조지아 오키프 등의 그림을 보고 또 보았다. 그 처음이 바로 에드바르 뭉크였다. 단언컨대 내게 가장 많은 침묵과 가장 많은 이야기를 만들어 준 작가였다.
근래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뭉크의 ‘병든 아이’ 연작을 보고 왔다. 이십 대의 내가 떠올랐음은 물론이다. 생각해 보면 가장 젊고 건강하던 시절의 나였다. ‘병든 아이’를 보며 죽어 가는 소녀를 흠모했던 이십 대였기에 아직도 내가 소설을 쓰며 살 수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오십이 다 돼서야.
2024-07-1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