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 아지매’ 아시나요… 부산, 그들의 애환 어린 ‘삶의 터展’

‘3대 아지매’ 아시나요… 부산, 그들의 애환 어린 ‘삶의 터展’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1-07-04 17:24
수정 2021-07-05 01: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립민속박물관 ‘부산 특별전’

산업화 시대 터전 지켜온 여성들
해양문화·‘동래야류 탈’ 등도 전시
6·25 피란수도 당시 사진·영상도
이미지 확대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부산, 바다와 뭍의 나들목’에선 부산의 다양한 역사와 문화를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재칫국아지매가 실제로 사용했던 재첩국 판매 리어카.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부산, 바다와 뭍의 나들목’에선 부산의 다양한 역사와 문화를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재칫국아지매가 실제로 사용했던 재첩국 판매 리어카.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부산에는 ‘3대 아지매’가 있다. 자갈치아지매, 재칫국(재첩국)아지매, 깡깡이아지매다.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의 혼란, 산업화 시대의 격동 속에서 강인한 생활력으로 가족을 부양하고 삶의 터전을 지켜 온 여성들이다.
이미지 확대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부산, 바다와 뭍의 나들목’에선 부산의 다양한 역사와 문화를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1970년대 최민식 작가가 촬영한 깡깡이아지매 작업 현장.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부산, 바다와 뭍의 나들목’에선 부산의 다양한 역사와 문화를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1970년대 최민식 작가가 촬영한 깡깡이아지매 작업 현장.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자갈치아지매는 부산의 상징인 자갈치시장을 만들었다. 일제강점기에 최대 어항인 남항이 들어서자 바지런한 아지매들이 새벽마다 어선에서 싱싱한 생선을 받아 널빤지로 만든 좌대에 올려놓고 팔기 시작한 게 자갈치시장의 기원이다. 난리를 피해 인파가 구름처럼 몰려들던 1950년대 재첩국 행상이 본격적으로 등장했다. 낙동강 하구에 지천으로 널린 재첩으로 끓인 재첩국 동이를 머리에 인 재칫국아지매들은 이른 아침부터 가파른 고갯길을 누볐다. 깡깡이아지매는 부산항 인근 영도구 대평동 일대의 수리조선업 종사자들이다. 배 표면이나 저장 탱크 내부에 슨 녹을 떼어 내는 작업을 할 때 망치로 두드리면 ‘깡깡’ 소리가 난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이미지 확대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부산, 바다와 뭍의 나들목’에선 부산의 다양한 역사와 문화를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1951년 부산 피란촌을 촬영한 임응식 작가의 사진.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부산, 바다와 뭍의 나들목’에선 부산의 다양한 역사와 문화를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1951년 부산 피란촌을 촬영한 임응식 작가의 사진.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부산 사람이 아니면 익숙하지 않은 이들의 삶을 엿볼 수 있는 전시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다. ‘2021 부산민속의 해’를 맞아 부산시와 함께 기획한 특별전 ‘부산, 바다와 뭍의 나들목’이다. 부산의 역사와 문화를 다각적으로 돌아보는 전시의 한 주제로 바다를 배경으로 살아가는 부산 여성들을 조명했다.

1970~1980년대 자갈치시장 풍경, 재첩국 행상을 촬영한 사진과 당시 대기업 회사원 월급보다 2배나 많았던 깡깡이아지매의 월급명세서 등 자료들을 비롯해 재첩 캘 때 쓰는 철재 거리, 깡깡이 망치 같은 작업 도구들을 볼 수 있다. 재칫국아지매가 실제 사용하던 재첩국 판매 리어카도 눈길을 끈다. 제주를 떠나 바깥물질을 가는 출항해녀 중 일부가 영도에 정착해 부산 해녀가 됐다. 국내 최초 잠수복 제작사인 부산 보온상사의 주문서, 잠수복 제작 도구 등이 흥미롭다.
이미지 확대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부산, 바다와 뭍의 나들목’에선 부산의 다양한 역사와 문화를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부산의 농경문화를 보여 주는 동래야류 탈.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부산, 바다와 뭍의 나들목’에선 부산의 다양한 역사와 문화를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부산의 농경문화를 보여 주는 동래야류 탈.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부산은 한국을 대표하는 해양도시이지만 조선시대까지는 내륙인 동래가 중심이었다. 1876년 강화도조약으로 부산항이 근대 개항장으로 개발되면서 해양문화가 활성화돼 기존의 농경문화와 공존하게 됐다. 농사공동체의 민속놀이인 ‘동래야류 탈’, ‘수영야류 탈’과 더불어 해양문화인 ‘좌수영어방놀이’, 풍어와 안전을 기원하는 ‘동해안 별신굿’이 나란히 전승되고 있는 이유다.

이번 전시에선 조선시대 통신사와 왜관을 통해 일본과 교류했던 모습, 6·25전쟁 당시 피란수도에서 수출무역의 거점도시로 성장하기까지 파란만장한 역사를 보여 주는 사진과 영상, 유물들이 소개된다. 전시는 8월 30일까지이며, 이후 부산박물관에서 9월 14일부터 12월 5일까지 열린다.

2021-07-05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