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작가 이정록 ‘에너지의 기원’展… 아날로그 필름 감성 오롯이
짙푸른 하늘과 호수를 배경으로 길게 누운 분화구 위에 하얀 나비 무리가 보름달처럼 환히 빛난다. 용암 지대를 흐르는 물길 위에도, 이끼로 뒤덮인 돌산 중턱에도, 세차게 하강하는 폭포수 아래에서도 나비 형상의 작은 빛들이 자유롭게 유영한다. 동화 속 상상을 그린 그림 같기도 하고, 초현실적인 자연을 컴퓨터그래픽으로 재현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순전히 아날로그 필름 사진 작업의 결과물이다.아이슬란드 03, 120×160cm, 갤러리나우 제공
아이슬란드 25, 120×160cm, 갤러리나우 제공
아이슬란드 18, 90×120cm, 갤러리나우 제공
아이슬란드 01, 90×120cm, 갤러리나우 제공
●‘빛의 작가’로 이름 알려… 한 컷 찍는 데만 대여섯 시간
작가는 2009년 나무의 생명력을 신성한 빛으로 표현한 ‘생명나무’ 연작을 계기로 ‘빛의 작가’로 이름을 알렸다. 이후 국내외 성스러운 장소를 찾아다니며 공간이 주는 에너지를 포착하는 ‘사적 성소’ 연작과 나비 형태의 빛을 사용한 ‘나비’ 연작 등의 작업을 이어 왔다. 나비(NAVI)는 히브리어로 영혼과 선지자를 뜻하기도 한다.
사진으로 존재하지만 현실에선 볼 수 없는 장면을 촬영하는 과정은 노동집약적이다. 카메라 셔터를 장시간 열어 두고 사방이 완전히 어두워졌을 때 촬영 대상이 되는 풍경 안에 작가가 직접 들어가서 플래시라이트를 반복적으로 터트려 찰나적인 빛의 흔적을 필름에 담는 기법이다. 때문에 한 컷을 찍는 데 짧게는 40~50분, 보통은 대여섯 시간이 걸린다. 낮에 예행 연습을 하고, 야광 테이프로 플래시를 터트릴 위치를 표시해 두지만 깜깜한 어둠 속에서 홀로 작업하는 일은 녹록지 않다. 3년 전 제주도 해안 촬영때는 죽을 고비를 넘긴 적도 있다.
작가는 왜 빛과 에너지에 천착하는 걸까. “풍경 사진을 찍다 보면 때론 공간이 형언할 수 없는 거룩한 느낌을 줄 때가 있다. 그런데 사진으로 찍으면 그 느낌은 온데간데없고, 숲이나 바다 같은 물질적 형태만 남는다. 공간이 주는 느낌을 어떻게 살릴 수 있을까 고민 끝에 에너지란 개념에 이르렀고, 에너지를 시각화하는 유용한 매체로 빛을 떠올리게 됐다.”
이정록 작가
터키 카파도피아,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스페인 산티아고 순례길 등 신화와 영성의 장소를 두루 다녀온 그가 보다 근원적인 자연의 에너지를 찾아 떠난 촬영지가 아이슬란드였다. 지난해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간 머물렀다. 음과 양이 뒤섞이고, 선악 구별 이전 상태의 기묘한 에너지를 좇다 보니 강을 16개나 건너야 갈 수 있는 험지에서도 작업했다고 한다. 작가는 “다른 곳에서 작업할 때는 여러 번 현장을 방문해 공간의 에너지와 공명한 뒤 그 느낌을 시각화하는 작업을 했는데, 아이슬란드는 처음 대면한 순간부터 에너지가 너무 강해서 따라가기에 바빴다”며 웃었다.
전시장에는 작가의 작업 과정을 담은 영상이 설치돼 관람객의 이해를 돕는다. 태초의 땅을 연상케 하는 아이슬란드 자연 위에 작가가 한 땀 한 땀 수작업으로 아름답게 수놓은 빛들이 인간의 지친 영혼을 위로하는 희망의 손짓으로 다가온다. 미국 로체스터공과대 영상예술대학원에서 사진을 전공한 작가는 수림사진문화상(2015), 갤러리나우작가상(2017) 등을 수상했고 국립현대미술관과 광주시립미술관, 대림미술관 등에 작품이 소장돼 있다. 전시는 3월 8일까지.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0-02-1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