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으로 만나는 시대의 리더 공자와 이순신을 한 무대에

춤으로 만나는 시대의 리더 공자와 이순신을 한 무대에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7-01-05 20:48
수정 2017-01-05 23: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임학선댄스위 창작춤 ‘문·무·꿈·춤’ 18~19일 대학로 공연

동양의 대표적인 역사적 리더 공자와 이순신을 한자리에서 만나는 무대가 마련된다.

이미지 확대
한국 창작춤 1세대 안무가 임학선 성균관대 무용학과 교수가 이끄는 임학선댄스위는 유교제례무 ‘문묘일무’에 담긴 춤의 의미를 기반으로 ‘문덕’과 ‘무공’을 상징하는 두 위인의 삶을 재조명한 창작춤 ‘문·무·꿈·춤’을 오는 18~19일 서울 대학로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공연한다.

문묘일무는 고대 중국에서 유래해 1116년 고려 때 유입된 춤으로 성균관 문묘에서 매년 옛 성현을 기릴 때 추는 춤이다. 중국은 원형을 잃은 지 오래됐고, 한국에서 그 전통을 이어 가고 있다. 오랜 역사성을 지닌 이 춤은 유교경전 ‘대학’을 상징하는 세계 유일의 춤으로 현재 유네스코 세계문화재 등재를 기대하고 있다.

2004년, 2015년 각각 문무와 무무를 바탕으로 한 창작춤 ‘스승 공자’, ‘영웅 이순신’을 선보인 임 교수는 문묘일무 한국 유래 900주년을 맞아 문무가 짝을 이루는 대작을 완성했다. 1980년대 무속굿에 기반한 제의적 성격이 강한 창작춤을 추구한 임 교수는 2000년대 들어 유학과 무용을 융합한 한국적 창작춤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임 교수는 “예악(禮樂)과 신독(愼獨)을 실천하며 인간 사랑과 이상 사회를 꿈꿨던 두 위인을 오늘날 우리의 몸짓으로 표현했다”면서 “자기 자신을 갈고닦는 수신(修身)의 의미를 지닌 문묘일무는 혼탁한 이 시대에 진정한 리더가 지녀야 하는 도리에 대해 되새기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7-01-06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