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0여곳만 남은 한약방, 그 정취 남깁니다

700여곳만 남은 한약방, 그 정취 남깁니다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1-08-03 20:16
수정 2021-08-04 00: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립민속박물관 ‘약재 한 첩…’ 보고서
한약업사 등 22명 구술로 생활상 담아

이미지 확대
한방은 우리 전통 의료체계의 한 부분을 차지해 왔다. 조선 정조 때 발간된 ‘제중신편’.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한방은 우리 전통 의료체계의 한 부분을 차지해 왔다. 조선 정조 때 발간된 ‘제중신편’.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한의사가 본격적으로 배출되기 이전 한방 의료체계의 한 부분을 담당해 온 이들은 한약방 주인인 한약업사였다. 한약방은 과거 병원과 약국이 없는 농어촌 서민들에게 전천후 의료공간이었으며, 한약업사는 좋은 약재를 고르는 감별능력과 오랜 임상의 결과인 비방(方)으로 한방 의료에 기여해 왔다.
이미지 확대
한방은 우리 전통 의료체계의 한 부분을 차지해 왔다. 한약방의 약장과 약 저울.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한방은 우리 전통 의료체계의 한 부분을 차지해 왔다. 한약방의 약장과 약 저울.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하지만 1982년 이후 한약업사 시험이 사실상 폐지되면서 명맥이 끊길 위기에 처했다. 현재 전국의 한약방은 700여개이며, 한약업사 평균 연령은 70대 중반이다. 이들이 떠나면 한약방과 한약업사는 기억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국립민속박물관은 근현대생활문화 조사연구의 일환으로 ‘약재 한 첩에 담긴 정성: 한약방 한약업사의 하루’를 최근 펴냈다. 지난해 2월부터 감초당한약방 김현봉 한약업사, 동아당한약방 양복규 한약업사 등 전국 각지에서 만난 22명의 구술을 통해 한약업사의 삶과 한약과 관련된 생활문화를 담았다. 박물관 측은 “20세기 서민 의료의 지킴이인 한약업사의 삶과 비전 등을 최초로 조명한 이번 조사보고서가 한약방의 타임캡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국립민속박물관 누리집(www.nfm.go.kr) 학술정보 발간자료 검색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2021-08-0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