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종이, 스카프, 양산 등에서도 빠져. 길고양이 뜻풀이 추가
‘주로 여성의 용모, 두발, 외모 따위를 단정하고 아름답게 해 주는 것을 전문으로 하는 집’이라는 기존 미용실 뜻풀이는 ‘용모, 두발, 외모 따위를 단정하고 아름답게 해 주는 것을 전문으로 하는 곳’으로 바뀌었다. ‘주로 여성의’라는 두 어절이 없어진 것이다. 기름종이 뜻풀이에서도 ‘주로 여자들이 화장을 고칠 때 쓴다’는 문구가 사라졌다. 스카프와 양산 뜻풀이에서도 각각 ‘주로 여성이’와 ‘주로, 여자들이’라는 말이 빠졌다.
‘장애아’는 ‘병이나 사고, 선천적 기형으로 말미암아 신체를 제대로 움직일 수 없는 아이’에서 ‘신체의 일부에 장애가 있거나 정신 능력이 원활하지 못해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아이’로 ‘기형’이라는 내용이 빠지고 ‘정신 능력’ 부분이 추가됐다. ‘학부형’ 뜻풀이도 ‘예전에 학생의 아버지나 형이라는 뜻으로, 학생의 보호자를 이르던 말’로 수정했다.
새롭게 ‘길고양이’ 뜻풀이가 추가됐다. ‘주택가 따위에서 주인 없이 자생적으로 살아가는 고양이’다. ‘도둑고양이’는 ‘사람이 기르거나 돌보지 않는 고양이’에서 ‘몰래 음식을 훔쳐 먹는 고양이라는 뜻으로, 길고양이를 낮잡아 이르는 말’로 변경됐다.
‘남북쪽’, ‘대체역’, ‘헛딛다’는 단어로 추가돼 띄어 쓰지 않고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남북쪽’은 ‘동서쪽’과 짝을 이루는 단어이지만, 기존에는 동서쪽만 사전에 등록돼 있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