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하메드 올린 기자 14년 만에 ‘아프간 통신’
이슬람 최대 축일(아슈라)인 19일 아프가니스탄 북부 마자에 르 샤리프에서 열린 행사에 총을 든 탈레반 남성들이 참석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EPA 연합뉴스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서 기자로 활동 중인 무하메드 올린(43)은 18일(현지시간) 서울신문과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복잡한 심경을 이렇게 표현했다. 서방은 카불에서 현재 벌어지는 일들을 ‘미군 철수’와 ‘탈레반 재등장’이라는 두 사건이 혼재된 양상으로 보고 있지만 내부자의 시선은 한결 복잡했다. 부패하고 무능한 아프간 정부의 퇴진, 미군 주둔에 기대어 온 경제 생태계의 파멸, 탈레반 재집권 이후 서방에 협조했던 아프간 엘리트들의 탈출 등 복합적인 문제가 카불에서 무질서하게 불거지고 있다고 올린은 전해 왔다.
●부패정권 떠나 좋지만 먹고살 게 걱정
올린과의 인연은 2007년 한국 기독교 선교단이 아프간에 피랍됐을 때 시작됐다. 그는 ‘아프간 통신’이란 제목으로 10여 차례에 걸쳐 서울신문에 현지 소식을 생생하게 전했다. 올린은 여전히 기자로 일하고 있지만, 현 소속을 밝히기 어렵다며 조심스러운 태도를 취했다.
카불에 투하된 수많은 문제들 중 가장 큰 문제가 탈레반임은 분명하다. ‘여성 인권을 존중한다’고 선언했다 다시 ‘민주주의가 아닌 이슬람 율법(샤리아법)으로 통치하겠다’고 말을 바꾸는 탈레반의 태도가 긴장을 키우고 있다. 샤리아법은 음악을 금지하고 도둑의 손을 자르거나 불륜 여성을 돌로 쳐 죽이는 공개처형을 허용한다. 올린은 탈레반이 카불을 장악하던 지난 15일 “폭력배와 도둑들이 경찰서의 공공재산은 물론 사유재산을 약탈하는 상황이 벌어졌다”고 했다. 그 혼란스러운 밤이 지난 다음날부터 카불 시내는 숨죽였다. 번화가의 밤을 지배하던 음악과 인파는 사라졌고, 여성의 얼굴을 내건 대학가의 대형 현수막은 찢겼다.
●탈레반 등쌀에 식료품점 등 영업 재개
하루아침에 ‘소리’가 지워진 도시에 외신들이 주목하면서 시내 풍경은 또다시 바뀌고 있다. CNN은 탈레반 점령 나흘째인 이날 아프간 탈출 길목인 공항으로 가는 길마다 설치된 탈레반의 검문소가 꽤 줄고 교통량이 늘었으며, 식료품점과 주유소 영업이 재개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두려움에 두문불출하는 카불 시민들의 집마다 탈레반이 문을 두드리며 출근 재개를 지시한 결과다. 지난 집권기(1996~2001년)의 공포정치 이미지에서 탈피, 서방의 비판에 귀를 열어 둔 듯한 모습을 연출하려고 탈레반도 노력 중인 것이다.
공포정치 재연만큼이나 무서운 게 생계 위협이다.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기 어려운 탈레반이 장악한 뒤 경제적 무력감이 아프간인을 짓누르고 있다. 올린은 “미국은 아프간 정부 직원에게 급여를 주고 국가 예산에도 기여해 왔다. 많은 이들이 미군 철수 뒤 경제적으로 무력해졌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어 “아직 시장에 식품이 부족하진 않지만, 탈레반이 인접국과의 국경을 장악 중이란 소식이 들린다”며 물자보급 위기를 걱정했다.
●엘리트도 탈레반도 미덥지 않은 국민
탈레반의 변화를 절대 믿지 않는 아프간 정부 공무원과 서방 협력자들이 기를 쓰고 탈출에 나선 상황도 탈레반엔 부담이라고 올린은 전했다. 국가 행정의 재건과 안정을 위해 필요한 이들이다. 그러나 아프간에 민주주의 체제를 도입하려던 엘리트들과 ‘샤리아법의 통치’가 양립하긴 어렵다.
어느 쪽도 택할 수 없는 선택지를 받아 든 것은 민중들도 마찬가지다. 올린은 “공무원 대부분이 부패해 공익보다 사익만 추구했고, 정부군은 싸우지도 않고 패했다”며 아프간 사람들에겐 아프간 정부 또한 탈레반의 완벽한 대안이 되지 못하는 현실이라고 전했다.
2021-08-20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