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라트로브 대학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학명 ‘파란스로푸스 로부스투스’는 현생 인류의 직계 조상으로 통하는 호모 에렉투스의 사촌인데 이번 해골의 주인공은 남성으로 보인다. 두 종은 같은 시대 어울려 지냈으나 파란스로푸스 로부스투스가 먼저 스러졌다.
멜버른에 있는 라트로브 대학 연구진이 2018년 요하네스버그 북쪽 드리몰렌 고고학 단지의 옛 채석장에서 해골 파편들을 발견했는데 지난 2015년 같은 또래의 호모 에렉투스 소년 해골이 발견된 곳에서 몇 m 떨어지지 않은 곳이었다. 온전한 상태의 해골을 찾아낸 것이 아니라 파편들을 하나하나 맞춰 해골 모양을 만드는 데 300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안젤린 리스 박사는 영국 BBC에 “화석으로 남은 기록은 단 하나의 치아 뿐이었는데 이번에 발견된 것들은 아주 희귀하고 아주 운 좋게 남은 것들”이라고 말했다.
고고학자들은 지난 몇년 동안 화석들을 한 데 모아 분석하는 데 할애했는데 이들의 논문은 10일 전문 잡지 ‘네이처, 에콜로지, 진화’에 실렸다. 공동 저자인 제시 마틴은 BBC에 화석 조각들을 다루는 일은 “물에 젖은 골판지”를 갖고 일하는 것과 같았다며 그것에 들러 붙은 마지막 먼지 자국을 빨아들이기 위해 비닐 빨대를 이용하기도 했다고 털어놓았다.
호주 라트로브 대학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리스 박사는 “시간이 흐르면서 파란스로푸스 로부스투스는 그들의 어금니와 이로는 단단했거나 기계적으로 힘겨웠던 음식을 물거나 씹으면서 진화하거나 더 강한 힘을 발휘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과학자들은 기후변화 때문에 물이 늘어난 환경이 그들에게 필요한 음식 양을 줄였던 것은 아닐까 짐작했다.
반면 치아가 더 작았던 호모 에렉투스는 식물이나 고기 모두 잘 먹을 수 있었다. 두 종은 완전히 다른 종이었다. 진화적으로도 더욱 다양한 실험을 해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리고 200만년 전만 해도 파란스로푸스 로부스투스가 호모 에렉투스보다 훨씬 숫자가 많았다고 덧붙였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