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확률 98% 넘었다”
S&P500지수 연중 최저치 기록美 임대료 2년 만에 하락세 전환
WTI 가격도 1월 이후 가장 낮아
연준 인사들은 “추가 인상” 합창


미국의 고강도 긴축 여파에 따른 달러화 강세 현상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요동치는 가운데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구성원들이 금리 추가 인상 필요성을 다시 한번 한목소리로 강조하고 나서면서 경기침체 공포가 극에 달하고 있다.
26일(현지시간) 로이터 등에 따르면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인플레이션의 현 수준과 전망을 고려하면 기준금리의 추가 인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같은 날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와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도 각각 “경제가 둔화하더라도 인플레이션을 2% 수준으로 되돌리려면 금리를 추가로 올려야 한다”, “인플레이션을 잡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밝히며 초강경 긴축 기조를 이어 갈 뜻을 거듭 강조했다.
이날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11월 금리를 0.75% 포인트 인상할 가능성도 71.1%로 높아졌다.
문제는 실물경기와 자산시장 타격이 너무 크다는 점이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03% 하락하며 연중 최저치를 기록했고, 다우존스 30 산업평균 지수는 전장 대비 1.11% 밀리며 3만선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의 주범인 부동산 가격도 하락세로 전환했다. 미 부동산 데이터업체인 코스타 그룹에 따르면 지난 8월 미 아파트 임대료 호가는 전월보다 0.1% 내리며 2020년 12월 이후 처음 하락세(월별 집계 기준)를 기록했다.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도 1월 3일 이후 최저치인 배럴당 76.7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금융정보업체 네드데이비스 리서치는 경기후퇴 확률이 98%를 넘었다고 밝혔다. 경기후퇴 확률이 이 같이 치솟은 것은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2020년, 세계 금융위기 당시인 2008~2009년 정도인데 이는 심각한 경기침체가 임박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금융시장 전반에 경기침체 공포감이 만연했다. 연준이 계속 돈줄을 조일 것으로 예상되자 세계 최대 결제통화인 달러화만 나 홀로 강세다. 산업 경기가 쪼그라들면 통상 초안전자산인 달러화로 돈이 몰리기 때문이다. 유로화·엔화 등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보여 주는 ICE 달러지수는 이날 114.677을 찍으며 20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파운드·달러 환율도 이날 장중 1파운드당 1.0382달러까지 하락하며 ‘1파운드=1달러’ 선을 위협했다. 앞서 유로화도 지난 7월 ‘1유로=1달러’ 선이 20년 만에 무너졌다.
CNN은 “연준의 인플레이션 전쟁 속에서 아무도 구원받지 못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2022-09-28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