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고물가에 34년 만에 최고
38개국 중 10개국 두 자릿수 인상
‘우크라 타격’ 튀르키예 73.5%↑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7/06/SSI_20220706183702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7/06/SSI_20220706183702.jpg)
OECD는 5일(현지시간) 38개 회원국의 올해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 평균이 9.6%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 4월(9.2%) 대비 0.4% 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1988년 8월 이후 33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다. OECD는 이날 자료에서 “콜롬비아, 일본, 룩셈부르크, 네덜란드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물가가 올랐다”고 했다.
5월 에너지 물가는 35.4% 급등했다. 전월 대비 2.5% 포인트 오른 수치다. 식료품 물가도 전월보다 1.1% 포인트 뛰어 12.6%를 기록했다.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물가는 6.4% 올랐다.
CPI가 두 자릿수 이상 오른 국가는 총 10개국이다. 튀르키예(터키)가 73.5%로 가장 높았고 에스토니아(20.0%), 리투아니아(18.9%), 라트비아(16.9%), 체코(16.0%), 폴란드(13.9%), 슬로바키아(12.6%), 칠레(11.5%), 그리스(11.3%), 헝가리(10.7%) 순이었다. 이 국가들은 러시아 원자재 의존도가 높다. 튀르키예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촉발한 에너지 및 곡물 가격 급등으로 살인적인 인플레이션 문제를 겪고 있다. 튀르키예 중앙은행의 ‘역주행’ 통화정책도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주요 7개국(G7)의 CPI는 7.5%를 기록했다. 전월 7.1%보다 0.4% 포인트 올랐다. 미국은 8.6%까지 상승했고 영국(7.9%), 독일(7.9%) 등은 모두 중앙은행 물가 목표치(2%)를 훌쩍 뛰어넘은 상태다. OECD는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의 인플레이션 주요 원인은 에너지 가격 상승”이라며 “캐나다, 영국, 미국에선 식량과 에너지를 제외한 인플레이션이 물가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2022-07-07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