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한국대사관서 근무 후 귀국
中 온라인 서비스 경험에 놀란 기억
“중국어로 시작한 항해 더 멀리 가길”
중국 베이징 한국대사관 근무 뒤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활동하는 최하영씨. 중국외문국 제공
중국외문국이 발간하는 ‘월간중국’ 최근호는 2017~2020년 중국 베이징 한국대사관에서 근무하고 귀국해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활약하는 한국인 최하영씨를 소개했다. 그는 중국어에 대한 호기심이 지금과 같은 인생의 항해를 이끌었다면서 중국 현지에서 경험한 온라인 산업 성장 속도가 놀라웠다고 전했다. 인터뷰 내용을 요약해서 소개한다.
10대 초반 우연한 계기로 중국어를 접한 최씨는 이 인연으로 2015년 한국외국어대 통번역대학원을 졸업했다. 2017년 주중한국대사관 전문통번역관에 선발돼 2020년까지 3년간 베이징에서 생활했다.
당시 노영민·장하성 전 주중대사 통역을 맡았는데, 말 한 마디라도 잘못 번역해 전달하면 외교 문제로 비화할 수 있기에 한순간도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었다. 덕분에 편두통을 달고 살았다.
그래도 2017년 12월 문재인 대통령 중국 국빈방문 시기에 일정을 일부 수행하면서 양국 관계 개선에 기여해 뿌듯함을 느꼈다.
대사관 근무 기간에 산둥과 광둥, 간쑤, 칭하이 등 중국 곳곳으로 출장을 다닌 것이 큰 배움이 됐다. 지형과 산업, 음식, 특산물, 민족, 문화, 성향 등 지역 특색이 너무도 뚜렷하고 다양해서 같은 나라라는 사실이 믿기 어려울 정도였다.
특히 중국에서 경험한 온라인 서비스가 놀라웠다. 상품 선택에서 결제까지 문자 메시지 한 통 보내는 것만큼 간단했다. 한국에서 당일배송을 시작하기 전부터 중국의 ‘징둥’(중국판 쿠팡)이라는 회사가 이 서비스를 시행했다. 알리바바가 운영하는 ‘타오바오’에는 볼펜 뚜껑부터 책장과 신발장 등 없는 게 없었다. ‘58퉁청’에서 인력 서비스를 신청하면 기사가 방문해 가구 조립 등을 대신 해줬다. 몸이 아프면 ‘메이투안’(중국판 배달의민족) 등에서 약을 주문할 수 있었다.
한국에서는 ‘현금→신용카드→모바일페이’의 단계로 성장했지만 중국은 신용카드를 건너뛰고 현금에서 곧바로 알리페이·위챗페이 등 모바일페이로 넘어갔다. 가끔 한국 친구들이 ‘중국에서는 걸인도 모바일페이로 돈을 받는다며?’라고 농담 섞인 질문을 했는데 정말로 그랬다. 슈퍼마켓이나 가판대, 택시 등 어디서나 모바일페이만 있으면 충분했다.
대사관 임무를 마치고 귀국한 최씨는 올해 초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에 입사해 최고경영자(CEO) 비즈니스 어시스턴트 겸 통번역사로 활동 중이다. 전 세계를 무대로 경쟁하는 이커머스 업계 특성상 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업무가 역동적인 점이 그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최씨는 “어린 시절 중국어를 좋아하는 마음에서 시작한 인생의 항해가 점점 더 넓은 바다로 나아가고 있어 마음이 즐겁다”고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