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한 남성이 자신의 아이를 어깨에 태우고 있다. 중국에서는 과도한 주거비와 교육비 등으로 ‘한 자녀’가 사실상 사회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서울신문 DB
한국과 마찬가지로 심각한 저출산에 시달리는 중국에서 한 지방 도시가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놨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5일 보도했다. 지난해부터 출산 지원금을 대폭 늘리자 출생아가 급증한 것이다.
중국 중부 후베이성의 톈먼시는 지난해 출생아가 전년 대비 1050명(1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최근 발표했다.
인구 100만명 규모의 톈먼시는 지난해 출산지원금을 3자녀 가정 기준 최대 22만 위안(약 4370만원)으로 확대했다. 주택 구입 때 12만 위안 상당 쿠폰을 지급하고 출산 때 일시 지원금으로 3000위안을, 자녀가 3세가 될 때까지 매달 1000위안을 지원한다.
중국 기준으로 인구 100만명 규모면 소도시로 볼 수 있는데, 이들 도시의 주택가격·물가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면 해당 지원은 꽤 파격적인 조치다. 이렇게 지원금을 대폭 늘리자 톈먼시의 출생아 수가 2016년 이후 처음으로 반등한 것이다.
SCMP는 중국 지방정부 다수가 출산율 제고를 위해 여러 지원책을 쏟아내지만 구체적 성과를 거둔 사례는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2023년 출생아 수는 900만명을 겨우 넘겨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4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인구학자 허야푸는 최근 소셜미디어(SNS) 위챗(중국판 카카오톡)에 올린 글에서 “텐먼시의 사례는 (최소한 중국에서는) 현금 지원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면서 “다른 지방정부에서 보조금이 효과가 없었다면 아마도 금액이 너무 적기 때문일 것이다. 증액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SCMP는 조만간 발표될 지난해 전국 인구 통계에서 출생아 수가 전년 대비 완만하게 증가할 가능성이 나온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인구학자들은 지난해 갑진년이 중국에서 상서로운 해로 여겨지는 ‘용띠해’여서 일시적 효과에 따른 것이라고 일축했다.
실제로 용띠 자녀를 낳으려는 부모들이 늘면서 광둥성 여러 병원에서 지난해 출산이 급증했다. 한 병원에서는 지난해 12월 25일까지 출생아가 1만명을 넘겨 전년 동기보다 23% 늘어나기도 했다.
최근 중국 대도시 주택 가격이 많이 내려갔지만 여전히 중국인들이 감당하기에는 버거운 수준인 만큼 ‘아이를 낳기 어려운 환경’이 근본적으로 변한 것은 아니라는 지적이다.
이런 상황에서도 최근 중국 전기차업체 샤오펑이 셋째 아이를 낳는 직원에게 3만 위안을 지급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지자체와 기업들의 출산 지원책이 이어지고 있다고 SCMP는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