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 캡처
27일(현지시간) CNN 방송과 dpa 통신 등에 따르면 프리고진은 러시아 제2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러시아-아프리카 정상회의 근처에 모습을 드러냈다.
이 사진을 처음 소개한 이는 중앙아프리카공화국에서 활동하는 바그너그룹의 핵심인사 드미트리 시티였다. 그는 이 사진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게재했다. 시티는 “한 대사가 러시아-아프리카 정상회의의 첫 사진을 나와 공유했다”며 “눈에 익은 얼굴들이 보인다”고 설명을 붙였다.
영국 매체 파이낸셜타임스는 프리고진과 함께 찍힌 인물이 마포카라고 전했다. 러시아 매체 폰타카는 사진이 촬영된 장소가 프리고진의 가족이 소유한 상트페테르부르크 번화가의 호텔로 정상회의 개최를 지원하기 위해 사흘 동안 통째로 예약된 곳이라고 전했다.
다른 러시아 매체들은 프리고진이 최근 친서방 대통령을 축출하려는 쿠데타가 발생한 니제르, 친러시아 성향을 심화하는 말리의 사절단과도 만났다고 보도했다.
이렇게 프리고진이 아무렇지도 않은 듯 모습을 다시 드러낸 것은 그의 위상이 예전으로 돌아갔음을 보여주는 한 단면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푸틴 대통령이 공을 들이는 행사에 접근했다는 사실 때문에 그가 여전히 이너 서클의 일원일 수 있다는 관측까지 제기된다.
파이낸셜타임스는 “프리고진이 러시아에 계속 나타난다는 점에서 그가 크렘린 기득권 조직의 중요한 일부라는 점이 드러난다”며 “아직까지는 푸틴 대통령이 프리고진을 조직에서 떼어내길 꺼리거나 떼어낼 수 없다는 뜻”이라고 해설했다.
바그너그룹은 소비에트연방(소련) 시절을 그리워하는 푸틴 대통령의 제국주의 성향을 아프리카에서 실현하는 준군사조직이다. 프리고진은 용병단을 파병해 아프리카 독재정권을 비호하고 그 대가로 경제적 이권을 챙기며 푸틴 정권의 전략적 이익, 제3세계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에 첨병 역할을 했다.
푸틴 대통령이 주재하는 이번 러시아-아프리카 정상회의는 미국 등 서방에 맞서 아프리카의 친러시아 세력을 결집하고 과시하는 자리다. 4년 만에 두 번째로 이날 개막했는데 아프리카연합(AU) 회원 54개국 중 49개국이 참여한 가운데 국가 수반이 직접 참석한 곳은 17개국에 불과해 2019년 첫 회의 때와 비교하면 절반에도 못 미쳐 푸틴 대통령의 체면을 구겼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