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이번, 2015년과는 다르다”
연준 금리 연내 최대 7번 예측↑
3월 0.25~0.50%p 인상 가능성
미국이 108년 만에 두 번째로 물가상승 위협을 막기 위한 금리인상 시행을 목전에 두고 있다.
3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108년 만에 물가상승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두 번째 금리 인상을 앞두고 있다며 “연준이 상황을 오판하면 피해는 처참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지난 26일 제롬 파월 의장은 연준 정책회의가 끝난 뒤 기자회견에서 오는 3월 가능성이 큰 금리 인상 문제를 두고 연준이 마지막으로 금리 인상을 했던 2015년 때와 구분하기 위한 설명을 강조했다. 파월 의장은 “현재 경제 상황이 2015년 금리를 올리기 시작했을 때와는 다른 환경”이라고 말하며 배포한 성명에서도 “물가상승률이 2%를 훨씬 넘고, 노동시장이 강세를 보여 곧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두 차례 금리 인상…2015년하고 2022년 무엇이 다른가파월은 7년 전 2015년에 금리 인상이 단행됐던 때보다 경제지표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당시 2015년 기준 경제 성장률(3.7%)은 지난해 말 기준 5.7%를 기록한 수치보다 낮았고 과거 실업률(5.0%)도 최근 3.7%를 기록한 실업률보다 낮은 상태다. 파월은 “노동시장을 위협하지 않고 금리를 올릴 여지가 꽤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하며 자신감을 보인 바 있다.
문제는 현재 코로나19 이후 경제가 재개되면서 미국 인플레이션이 40년래 최고치인 7%를 기록했다. 당시 2015년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간 0.5%포인트 정도밖에 오르지 않아 인플레이션 우려가 없던 상황이었다. 연준이 상황을 오판할 때 경제 피해가 처참해질 수 있는 이유다.
금리를 너무 많이 혹은 너무 빨리 올리게 되면 기업 투자 및 생산 그리고 고용이 어려워지면서 경기 침체가 올 수 있다. 반면, 금리를 너무 적게 올려 인플레이션을 잡지 못하면 자산 가격 하락으로 내수경제가 타격을 입으면서 가계와 기업이 큰 피해를 보게 된다. 특히 코로나19가 완전히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강한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더해지면서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더 자주 시장에 신호 보내는 연준…매파 노선 확실파월 의장은 연준 관계자들이 금리 인상 당시 `점진적’ 접근법을 공언했던 2015년과 달리 올해 4회 이상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는 신호를 시장에 보여주고 있다. 파월 의장은 투자자들이 예상한 0.25% 포인트 이상 상승에 대한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미국 물가상승이 40년래 역대 최고치를 찍으면서 올해 7차례 남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준이 모두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거나 한두 차례 0.5%포인트 금리인상을 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지난 29일 연준 간부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계속 높게 유지된다면 0.5%포인트 금리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보스틱 총재는 연준이 3월부터 시작해 연내 세 차례 금리를 올리는 시나리오가 제일 유력하다고 내다봤지만, 높아진 소비자 물가 탓에 더 강력한 금리인상이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오는 3월 첫 금리 인상 가능성 커…0.50%p 시장 예측도시장에서도 잇따라 전망치를 내놓고 있다. 일본 투자은행 노무라 증권은 연준이 3월 0.50%포인트 인상안을 발표할 것으로 내다봤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연준이 0.25%포인트씩 연내 7회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금리인상으로 인플레이션이 잡힐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날 FT에 따르면 세계 최대 국부펀드를 이끄는 니콜라이 탕엔 노르웨이 중앙은행 투자운영위원회의(NBIM) 대표는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더 강할 수 있다”며 영구적인 인플레이션에 따른 우려와 더불어 향후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주식과 채권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연정 기자
연준 금리 연내 최대 7번 예측↑
3월 0.25~0.50%p 인상 가능성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
로이터 연합뉴스
로이터 연합뉴스
3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108년 만에 물가상승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두 번째 금리 인상을 앞두고 있다며 “연준이 상황을 오판하면 피해는 처참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지난 26일 제롬 파월 의장은 연준 정책회의가 끝난 뒤 기자회견에서 오는 3월 가능성이 큰 금리 인상 문제를 두고 연준이 마지막으로 금리 인상을 했던 2015년 때와 구분하기 위한 설명을 강조했다. 파월 의장은 “현재 경제 상황이 2015년 금리를 올리기 시작했을 때와는 다른 환경”이라고 말하며 배포한 성명에서도 “물가상승률이 2%를 훨씬 넘고, 노동시장이 강세를 보여 곧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두 차례 금리 인상…2015년하고 2022년 무엇이 다른가파월은 7년 전 2015년에 금리 인상이 단행됐던 때보다 경제지표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당시 2015년 기준 경제 성장률(3.7%)은 지난해 말 기준 5.7%를 기록한 수치보다 낮았고 과거 실업률(5.0%)도 최근 3.7%를 기록한 실업률보다 낮은 상태다. 파월은 “노동시장을 위협하지 않고 금리를 올릴 여지가 꽤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하며 자신감을 보인 바 있다.
문제는 현재 코로나19 이후 경제가 재개되면서 미국 인플레이션이 40년래 최고치인 7%를 기록했다. 당시 2015년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간 0.5%포인트 정도밖에 오르지 않아 인플레이션 우려가 없던 상황이었다. 연준이 상황을 오판할 때 경제 피해가 처참해질 수 있는 이유다.
금리를 너무 많이 혹은 너무 빨리 올리게 되면 기업 투자 및 생산 그리고 고용이 어려워지면서 경기 침체가 올 수 있다. 반면, 금리를 너무 적게 올려 인플레이션을 잡지 못하면 자산 가격 하락으로 내수경제가 타격을 입으면서 가계와 기업이 큰 피해를 보게 된다. 특히 코로나19가 완전히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강한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더해지면서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더 자주 시장에 신호 보내는 연준…매파 노선 확실파월 의장은 연준 관계자들이 금리 인상 당시 `점진적’ 접근법을 공언했던 2015년과 달리 올해 4회 이상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는 신호를 시장에 보여주고 있다. 파월 의장은 투자자들이 예상한 0.25% 포인트 이상 상승에 대한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미국 물가상승이 40년래 역대 최고치를 찍으면서 올해 7차례 남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준이 모두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거나 한두 차례 0.5%포인트 금리인상을 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지난 29일 연준 간부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계속 높게 유지된다면 0.5%포인트 금리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보스틱 총재는 연준이 3월부터 시작해 연내 세 차례 금리를 올리는 시나리오가 제일 유력하다고 내다봤지만, 높아진 소비자 물가 탓에 더 강력한 금리인상이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오는 3월 첫 금리 인상 가능성 커…0.50%p 시장 예측도시장에서도 잇따라 전망치를 내놓고 있다. 일본 투자은행 노무라 증권은 연준이 3월 0.50%포인트 인상안을 발표할 것으로 내다봤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연준이 0.25%포인트씩 연내 7회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금리인상으로 인플레이션이 잡힐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날 FT에 따르면 세계 최대 국부펀드를 이끄는 니콜라이 탕엔 노르웨이 중앙은행 투자운영위원회의(NBIM) 대표는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더 강할 수 있다”며 영구적인 인플레이션에 따른 우려와 더불어 향후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주식과 채권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연정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