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간은 민주주의 국가 아니다…이슬람법으로 통치”
덧칠로 가려진 여성 모델의 얼굴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 전역을 장악한 가운데 18일(현지시간) 수도 카불의 한 미용실 외벽에 걸려 있는 화보 속 여성 모델의 얼굴이 검은색 스프레이로 덧칠돼 가려져 있다. 2021.8.18.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그는 특히 아프가니스탄이 민주주의 국가가 아니라며 이슬람 율법학자가 여성의 역할을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여학생 등교 허용 등 율법학자가 정할 것”탈레반의 의사 결정에 접근할 수 있는 와히둘라 하시미는 1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과 가진 인터뷰에서 “탈레반 지도부회의가 아프간을 통치하고 최고 지도자인 히바툴라 아쿤드자다가 전체 지도자로 남을 것 같다”고 밝혔다.
하시미는 이슬람 율법학자가 여성의 역할과 여학생의 등교 허용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여성이 히잡을 쓸지 부르카를 입을지 아니면 아바야에 베일을 착용할지 그런 것은 율법학자의 결정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부르카는 얼굴까지 검은 천으로 가리는 복장이고, 아바야는 얼굴을 뺀 목부터 발끝까지 가리는 검은색 긴 통옷이다.
하시미는 이런 정책을 결정할 율법학자 위원회가 탈레반에 존재한다면서 “아프간 국민 99.99%가 무슬림이며 우리는 이슬람법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날 탈레반 대변인 자비훌라 무자히드는 기자회견에서 “이슬람법의 틀 안에서 여성의 권리를 존중할 것”이라면서 여성의 취업과 교육도 허용할 계획이라고 밝히는 등 과거 통치 때보다 유화적인 정책을 쓸 것이라는 제스처를 내비친 바 있다.
그러나 다음날 폭스뉴스는 아프간 타크하르주 주도 탈로칸에서 한 여성이 부르카 없이 외출했다가 총격을 받고 숨졌다고 보도했다.
또 다른 도시에서도 탈레반이 부르카로 몸을 가리지 않았다는 이유로 식료품을 사러 나온 여성을 위협해 다시 집으로 들여보내는 모습이 포착됐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1996∼2001년 집권한 탈레반 정권은 이슬람 샤리아법(종교법)을 극단적으로 앞세워 엄격하게 사회를 통제했다.
춤, 음악, TV 등 오락이 금지됐고 도둑의 손을 자르거나 불륜을 저지른 여성을 돌로 쳐 죽게 하는 벌도 허용됐다.
특히 여성은 취업 및 각종 사회 활동이 제약됐고 교육 기회가 박탈됐다. 외출할 때는 부르카를 착용해야 했다.
“정부군 전투기 조종사와 군인들 합류 요청”한편 하시미는 아프간 정부군의 군사 자산에 대해 탈레반이 이어받겠다는 언급도 했다.
그는 “아프간군 전투기 조종사와 군인들에게 합류를 요청할 것이며, 인근 국가들은 군인들이 타고 간 군용기를 반환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탈레반의 보복을 우려한 아프간 정부군 등이 인접한 중앙아시아 국가로 도주하는 사례가 속출했다.
이웃 국가인 타지키스탄 외무부는 아프간 군인 100명 이상이 탄 항공기 1대와 탑승객이 확인되지 않은 또다른 아프간 항공기 1대가 자국 공항에 착륙했다고 지난 16일 밝힌 바 있다.
또 우즈베키스탄 국방부는 같은 날 성명을 통해 “전날 밤늦게 우즈베키스탄 영공으로 진입한 아프간 군용기 한 대가 방공부대에 격추돼 추락했다”고 밝혔다.
또 국경을 넘은 아프간 정부군 84명이 국경경비대에 체포됐다고도 전했다.
한편 아프간 정부군이 보유한 211대의 항공기 중 대다수가 탈레반에 넘어간 것으로 미 국방부는 추정했다.
전투기를 포함한 아프간 정부군의 항공기 대부분이 고스란히 탈레반 손에 넘어가면서 탈레반이 자체적으로 단기간에 양성이 어려운 전투기 조종사를 향한 회유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