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광장] 朴의 세력 vs 文의 세력 vs 安의 세력/이도운 논설위원

[서울광장] 朴의 세력 vs 文의 세력 vs 安의 세력/이도운 논설위원

입력 2012-02-08 00:00
수정 2012-02-08 0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통령은 혼자 집권하는 것이 아니다. 그가 이끄는 세력과 함께 집권하고, 통치하고 또 결국은 스러져 가는 것이다. 박정희·전두환·노태우의 군부, 김영삼의 민주계, 김대중의 동교동계, 노무현의 ‘386’이 역대 정권의 대표적인 집권 세력이었다. 현재 여론조사에 따르면 박근혜, 문재인, 안철수 셋 가운데 한 사람이 연말 선거에서 차기 대통령으로 당선될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그들은 어떤 세력을 통해 정권을 만들어 갈 것인가. 세 예비후보뿐만 아니라 그들을 뒷받침하는 세력의 면면을 따져 보는 것도 유권자들의 선택에 중요한 기준점이 될 것이다.

이미지 확대
이도운 논설위원
이도운 논설위원
가장 큰 세력을 가진 후보는 집권당인 새누리당의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다. 지난 대선 때부터 박 위원장을 따라온 ‘친박계’ 의원들을 우선적으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친박계는 원래부터 실체가 불분명한 느슨한 집단이라는 시각도 있다. 친박계 의원 가운데 적지 않은 수가 용퇴 압력을 받고 있다. 친박계는 박 위원장이 외부에서 영입한 비대위원들과 공직자후보추천위원들에게 밀리고 있다. 또 국가미래연구원 등 각종 정책연구 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전문가들도 중요한 세력을 형성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당 안팎에서 크고 작은 정책적 변화와 인물의 부침이 이어지면서 박 위원장을 뒷받침하는 중심세력의 ‘정체’가 무엇이냐는 말도 나온다. 몇몇 정치인은 “박 위원장 주변 인물은 워낙 스펙트럼이 다양해서 이념이나 정책, 지역 등으로 정의하기 어렵다.”면서 “가장 큰 줄기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세력”이라고 주장했다. 박근혜의 세력은 박정희의 세력이라는 등식이 성립할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이 같은 인식이 확산되는 것이 박 위원장에게 그다지 유리하지는 않을 것 같다. 박 전 대통령을 존경하는 사람들도 1970년대로 돌아가는 것은 원치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박 위원장 스스로 새로운 세력의 정체성을 명확히 해나갈 필요가 있다.

문재인 노무현재단이사장의 세력은 박 위원장의 세력에 비해 분명하다. 노무현 전 대통령 당시 정권을 이끌었던 인물들, 이른바 ‘친노’ 세력이다. TV 연예 프로그램 출연 이후 인간적인 매력이 부각되면서 문 이사장의 지지율도 크게 올랐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친노가 부활해 다시 정권을 잡는 것에 대해서는 의구심을 갖는 것이 사실이다. 친노 가운데는 정치 개혁과 분배 강화, 남북 화해를 대표할 수 있는 인물도 있지만 편가르기와 아마추어리즘, 무조건적인 친북반미 등을 상징하는 인물도 있다. 문 이사장이 친노 세력 가운데서도 어떻게 옥석을 가리며 사람을 쓰는가를 유권자들은 지켜볼 것이다. 또 동교동계의 핵심인사는 “노 대통령 집권 당시 청와대가 호남 정치권을 배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그 중심 인물 가운데 하나가 문 이사장”이라고 주장했다. 문 이사장이 민주통합당의 지지 기반인 호남을 세력권으로 끌어안을 수 있느냐 하는 것도 관심거리다.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개인 지지율이 가장 높다. 그러나 세력이라는 측면에서는 가장 약하다. 소속된 정당이 없기 때문이다. 정치 참여를 공식 선언하지 않았기 때문에 세력을 모으기도 쉽지 않다. 한 재벌기업의 최고경영자는 최근 만난 정부 고위관계자에게 “대기업도 아니고 중소기업 하던 사람이 무슨 국가를 경영하겠느냐.”고 말했다고 한다. 안 원장은 여권보다 야권 후보로 인식된다. 그러나 문 이사장의 지지율이 올라가면서 민주당도 안 원장에게 쉽게 문을 열기 어려운 상황으로 가고 있다. 그런 측면에서 안 원장이 설립한 기부 재단이 새로운 세력을 만들어 가는 매개체가 될 가능성에 관심이 모아진다. 특히 안 원장이 김대중 전 대통령이 세운 평민당의 총재를 역임한 박영숙 한국여성재단고문을 이사장으로 추대한 것이 주목된다.

오는 4·11 총선은 박·문·안 세 사람이 자신의 세력을 재편하는 변곡점이 될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도 이번 총선이 중요한 정치적 이벤트다.

dawn@seoul.co.kr

2012-02-0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