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영 식물세밀화가](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2/08/SSC_20230208000827_O2.jpg)
![이소영 식물세밀화가](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2/08/SSC_20230208000827.jpg)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패랭이꽃속에는 패랭이꽃, 술패랭이꽃, 갯패랭이꽃 등이 있다. 그림은 패랭이꽃.](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03/SSC_20230503001154_O2.jpg)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패랭이꽃속에는 패랭이꽃, 술패랭이꽃, 갯패랭이꽃 등이 있다. 그림은 패랭이꽃.](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03/SSC_20230503001154.jpg)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패랭이꽃속에는 패랭이꽃, 술패랭이꽃, 갯패랭이꽃 등이 있다. 그림은 패랭이꽃.
언젠가 지인이 애인에게서 받은 꽃다발에 카네이션이 많이 들어 있다며 연장자를 대하는 듯해 섭섭하다기에 나는 카네이션이 장미와 다르지 않다는 말과 함께 이들이 절화로서 가진 위상을 설명해 줬다.
카네이션은 석죽과 패랭이꽃속의 카리오필루스종을 개량한 식물이다. 우리가 아는 형태의 카네이션이 되기까지 패랭이꽃은 많은 변화를 거쳐야 했고 그 변화 속에서 본성을 포기해야 했다. 식물종의 삶도 인간종의 삶과 크게 다르지 않다.
식물학자 칼 폰 린네는 카네이션의 원종을 가리켜 정향 냄새가 난다며 이들 종소명에 정향의 종소명 ‘카리오필루스’를 부여했다. 그러나 꽃집의 카네이션에는 정향 비슷한 향도 나지 않는다. 호불호가 갈리는 정향 향기는 육성 시 단호히 제거됐기 때문이다. 카네이션은 향기 대신 수명 연장을 선택당했다. 카네이션이 절화로서 인기 있게 된 요인 중에는 절화수명이 길다는 특성이 있다. 카네이션을 꽃병에 꽂아 두면 장미나 튤립보다 꽃이 한 주 이상 더 오래 피어 있는 걸 알 수 있다. 꽃병에 꽂아 둔 절화가 천천히 시든다는 것은 이들을 관상하는 인간 입장에서 최대 장점이 아닐 수 없다.
![카네이션 원종의 꽃 색은 보랏빛이 도는 분홍색이지만 개량을 통해 빨간색, 노란색, 주황색, 녹색, 검은색, 푸른색의 카네이션이 탄생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03/SSC_20230503001157_O2.jpg)
![카네이션 원종의 꽃 색은 보랏빛이 도는 분홍색이지만 개량을 통해 빨간색, 노란색, 주황색, 녹색, 검은색, 푸른색의 카네이션이 탄생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03/SSC_20230503001157.jpg)
카네이션 원종의 꽃 색은 보랏빛이 도는 분홍색이지만 개량을 통해 빨간색, 노란색, 주황색, 녹색, 검은색, 푸른색의 카네이션이 탄생했다.
카네이션 원종과 재배종을 비교해 보면 줄기의 길이가 확연히 다르다. 패랭이꽃속 식물은 줄기가 짧고 가는 것이 특징인데, 카네이션은 줄기가 곧고 길다. 줄기가 짧으면 꽃병에 꽂아 절화로 활용할 수 없기에 인류는 패랭이꽃속 중 가장 키가 큰 종을 선택한 후 줄기를 더욱 곧게 육성했다. 최근에는 패랭이꽃속 특유의 꽃잎 가장자리 핑킹 거치를 지우고 가장자리를 매끄럽게 육성한 카네이션도 유통된다.
나는 소설이나 영화를 보면서 사회적 약자가 지나치게 평면적이고 납작한 캐릭터로 그려질 때 종종 괴로움을 느낀다. 부족한 경험 아래 약자를 잘 그려 보자는 마음만으로 착하고 무해하고 너그러우며 이타심 많은 이상적 인물로 그리는 것은 사실 약자는 이래야 한다는 잠재적 편견이 내재한 결과다. 대중도 성격이 나쁘지만 착한 면도 있는, 폭력적일 때도 있고 다정할 때도 있는 입체적인 캐릭터의 강자에게 매력을 느끼지만 같은 캐릭터가 약자일 때는 거부감을 느끼는 것 같다. 강자에게서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은 내가 어쩔 도리가 없으니 매력으로 치환해 생각하는 게 편하고, 약자는 내가 조종할 수 있다는 생각에 늘 괴롭힌다.
우리는 식물도 평면적인 캐릭터로 만들어 왔다. 카네이션은 꽃잎이 풍성하고 색이 화려하며 절화수명이 길고, 병에 꽂을 수 있도록 줄기도 곧고 긴 꽃병의 무생물로 변형됐다. 우리는 이들이 5월에 필요하기 때문에 일 년 내내 꽃이 피도록 육성했다. 식물의 꽃이 피는 시기도 인간이 정한다.
우리 마음에 드는 캐릭터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식물의 개화가 가진 가치와 꽃을 매개하는 곤충, 정향을 떠올리게 하는 특유의 향기, 매력적인 줄기의 곡선과 잎, 열매까지 무참히 지워졌다.
카네이션이 속한 패랭이꽃속의 속명 디안투스는 그리스어로 ‘신의 꽃’을 의미한다. 성스러운 식물로서 추앙하기 위해 명명됐지만, 지금 내게 이 속명은 스스로 신이 된 인간의 꽃이라는 의미로밖에는 보이지 않는다.
2023-05-0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