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영 식물세밀화가
내답압성의 정의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보리밭 따위의 농경지가 답압에 대해 고유의 성질을 유지하려는 성질’이라고 돼 있다. 밟아도 본래대로 돌아오는 성질, 밟아서 생기는 상처 등에 강한 성질. 잔디의 가장 중요한 특성이다.
길가의 풀, 정확히는 식물 지상부에 속하는 줄기, 잎, 꽃, 열매, 종자는 인간에 의해 짓밟히면 본래 형태로 돌아가지 못하고 서서히 죽는다. 물론 한두 번 짓밟혔다고 죽진 않을 수도 있지만 꺾이거나 잘릴 정도의 훼손은 그대로 생명력을 잃게 만든다.
다른 식물들에 의해 척박한 곳으로 내몰린 질경이는 동물에 밟히는 환경에 익숙하게 진화했다. 유럽에 분포하는 넓은잎질경이(왼쪽)와 우리나라에도 분포하는 창질경이(오른쪽).
잔디처럼 밟혀도 살아 있는 풀, 오히려 밟히면서 번식을 하는 풀이 바로 질경이다. 이름부터 질경이라 참 질긴 풀이겠구나 싶지만, 질경이는 길에 흔히 살아 ‘길경이’에서 유래된 이름이라 추측한다. 질경이는 우리 주변 어디에나 있다. 숲, 길가, 정원. 오히려 숲이 아닌 곳, 식물이 살기 힘들 것 같은 척박한 곳에서 더 자주 볼 수 있다. 이것은 다른 잡초들처럼 이들 역시 다른 식물들에 의해 밖으로 밀려났기 때문이다. 모든 사람들이 편리하고 풍족한 환경에서 살 수 없듯, 모든 식물들이 양분이 풍부하며 양지바른 곳에서 살 수 없다. 그래서 이들은 이 척박한 곳에서 살아남기 위해 더 강해져야 했다.
질경이는 줄기 없이 뿌리에서 잎이 사방으로 퍼지며 땅에 붙어 난다. 이 형태는 무게중심을 낮춰 동물에 의한 훼손을 최소화한다. 게다가 질경이의 꽃줄기는 늘 위로 곧게 서지 않고 약간 옆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바람의 저항을 덜 받으며, 동물의 공격에도 유리하다.
4년 전 노르웨이의 식물을 그리면서 우리나라의 질경이가 아닌, 같은 속의 넓은잎질경이와 우리나라에서도 분포하는 창질경이를 그렸다. 넓은잎질경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질경이와 비슷한 형태였고, 창질경이는 잎이 유독 가느다랗고 뾰족했다. 생각해 보면 질경이는 노르웨이뿐만 아니라 유럽 어디를 가도 각기 다른 종으로서 늘 존재했다.
우리나라 길가에 흔히 나는 질경이는 밟혀도 일어나는 ‘내답압성’의 상징이다.
게다가 이들은 자신들을 밟은 동물을 이용까지 한다. 질경이 씨앗은 주로 동물의 발바닥에 묻어 멀리까지 퍼진다. 물론 인간도 예외가 아니다. 인간의 신발에 의해 질경이는 멀리, 더 많이 번식할 수 있다. 이것이 질경이가 살아가는 방법이다.
이들이 처음부터 밟히는 데에 익숙했던 것은 아니다. 그저 살다 보니 그렇게 돼버린 것뿐이고, 그렇게 오히려 자신을 밟는 동물을 이용해 번식까지 하게 됐다.
질경이는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식물의 이미지를 상쇄시킨다. 약하고, 수동적인 존재라는 식물의 이미지 말이다. 언젠가 한 기관의 식물 관련 프로젝트를 한창 진행하던 중 갑자기 중지하게 된 사연이 있는데, 그 이유는 식물이 워낙 약한 이미지라 기관 이미지에 안 좋을 것 같다는 상부 의견이 있다는 것이었다. 이 말은 그들이 식물이란 생물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이었고, 그런 곳이라면 애초에 식물 프로젝트를 할 자격이 없기 때문에 일이 중지가 됐음에도 나는 참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식물은 움직일 수 없고 그래서 다른 생물의 공격을 당하기 쉽기 때문에, 더 계산적이고 치밀하게 공격에 대응할 방법을 강구해 내며 오랜 시간 변화한다. 밟혀도 밟혀도 살아 있는 질경이, 아니 밟히면서 더 먼 곳으로 나아가는 질경이를 그리면서 나는 올해를 살아갈 힘을 얻는다.
2021-01-2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