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종 종로구청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4/25/SSI_20210425231754_O2.jpg)
![김영종 종로구청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4/25/SSI_20210425231754.jpg)
김영종 종로구청장
“저 계단은 눈물계단이야. 윗마을에서 없이 살던 추운 겨울, 식구들 먹을 배춧국이라도 끓이려고 배추 한 포기를 구해 계단을 오르는데 넘어졌지. 배추가 경사진 계단을 타고 저 아래까지 굴러가는 통에 떨어진 배춧잎 하나라도 더 주우려고 다시 올라오는데 어찌나 눈물이 나던지. 앞치마에 주워 담은 배추는 반으로 줄어 있고.”
“예, 지금이라도 잘 고쳐 보겠습니다” 했더니 한 말씀 덧붙이신다. “계단은 너무 높으면 안 돼. 노인들은 힘들어. 그리고 왜 그리 자주 고치는 거야?”
이 말씀을 들으니 어려운 시절을 살았던 우리네 어머니들의 애환이 떠올라 주변의 사소한 부분까지도 세심하게 살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가 늘 걷는 보도나 계단은 누구에게나 똑같은 혜택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이를 잘 만드는 일은 가장 보편적 복지라고 할 수 있다. 오래된 도시인 종로구에는 경사진 마을이 많다. 그래서 계단이 낡고 높낮이가 달라 위험하고 파손된 것도 많다.
우선 계단을 새로 고칠 때는 전체적으로 계단 경사가 급하지 않게 한다. 둘째, 단 높이가 높지 않으면서 고르게 만든다. 챌판 높이는 15㎝ 정도, 디딤판의 너비는 45~50㎝ 정도로 만든다. 셋째, 디딤판 바닥의 광내기는 절대 금하고, 미끄럽지 않도록 한다. 넷째, 비나 눈에도 문제가 없도록 물 빠짐이 잘돼야 한다. 즉, 계단으로 물이 흐르거나 빙판이 생기지 않도록 설계, 공사해야 한다. 다섯째, 어느 정도 높이마다 쉬는 계단참을 둔다. 여섯째, 노약자를 위해 손잡이나 앉을 수 있는 자리 등 편의시설을 만든다. 일곱째, 계단에 접해 있는 집의 대문 앞에는 공간을 충분히 만든다. 여덟째, 야간에도 안전한 빛 환경을 만들어 환하면서도 인접한 집의 빛 공해를 최소화한다. 아홉째, 백년 갈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해 튼튼하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계단 주변에 화단을 조성하는 등 아름다운 계단을 만든다.
종로구가 이처럼 계단을 잘 만들고 있는 것은 주민들이 안전하고 편리하면서도 즐겁게 이용할 수 있는 마을이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2021-04-2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